전통시장, ‘특성화시장’으로 특색 살리니… 4년 연속 매출ㆍ고객수 증가

대형마트와 온라인 시장에 가려졌다고 여겨진 전통시장의 매출액이 4년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시장의 문화와 특색을 살리는 ‘특성화 시장’이 큰 효과를 보였다는 분석이다.

2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매년 발표하는 ‘전통시장 및 상점가 점포경영 실태조사’에 따르면 그간 감소하던 전통시장 매출이 지난 2014년 20조 1천억 원에서 2017년 22조 6천억 원까지 4년 연속 상승세다. ‘특성화시장’ 육성사업이 올해로 6년차를 맞이하면서 전통시장 활성화에 크게 기여한 것이라고 중기부는 해석했다.

특성화 시장 지원 사업 중 하나인 문화관광형시장의 경우 고객 수 증감율은 2014년 10.9%에서 지난해 14.4%로 늘었다. 같은 기간 매출증감률은 7.1%에서 16.3%로 두 배 넘게 뛰었다. 이에 따라 전체 전통시장 고객 수도 2014년 18억 명에서 2017년 20억 명으로 11% 증가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전통시장 매출액의 반전 결과는 지속적인 상인의 자구노력과 전통시장 환경 개선, 컨텐츠 개발지원이 이뤄낸 성과”라고 말했다.

중기부는 2014년부터 기존 시설 개선 사업 등 하드웨어적 지원에서 지역문화ㆍ예술ㆍ전통을 융합, 서비스 향상 등 소프트웨어 위주의 지원방식으로 전환했다. 지난해 말까지 전국 498곳(경기도 59곳)이 특성화 시장으로 선정됐다. 이는 전체 전통시장과 상점가의 29%에 해당한다. 올해 85곳이 추가로 이 제도의 지원을 받을 예정이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특성화 사업으로 시장이 변화하고 활기를 되찾고 있다”며 “대기업과 협력을 확대하고 복합청년몰 조성, 지역특산품 판매 지원, 노후 건물 디자인 등 다양한 모델을 개발해 보급겠다”고 말했다.

김해령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