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市, 경기용인플랫폼시티 MOU
보정·마북·신갈동 2.7㎢ 규모 부지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과 마북동, 신갈동 일원 2.7㎢ 규모 부지에 첨단산업과 상업, 주거, 문화·복지 공간이 어우러진 미래형 복합 자족도시가 들어선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백군기 용인시장, 이헌욱 경기도시공사 사장, 김한섭 용인도시공사 사장은 7일 경기도청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용인플랫폼시티 조성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은 정춘숙 국회의원, 남종섭(더불어민주당ㆍ용인4), 김중식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ㆍ용인7)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라이브방송으로 진행됐다.
협약에 따라 경기도와 용인시는 개발사업 인허가와 국내외 기업 유치활동 등 사업추진을 위한 행정지원을 하기로 했다. 또 경기도시공사와 용인도시공사는 사업계획 수립과 조사·설계, 용지보상, 부지조성 등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구체적인 사업 참여 여부와 지분 등의 구체적 사항은 기관별로 사업 타당성을 검토한 후 협의를 통해 다시 결정한다.
도는 올 하반기까지 지방공기업평가원의 타당성 검토와 사업 참여기관이 확정되면, 내년부터 기본계획과 개발구상에 착수해 오는 2025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이 지사는 “토지 개발은 공공의 자산을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개발 인허가를 통해 생겨나는 초과 불로소득은 공공이 환수해야 한다”면서 “(플랫폼시티를) 체계적으로 잘 개발해서 기반시설도 충분히 확보하고 초과 불로소득은 용인시민, 경기도민의 삶을 개선하는 데 유용하게 썼으면 한다”고 밝혔다.
백 시장은 “용인시가 난개발로 고생했는데 이번 플랫폼시티는 난개발이 되지 않도록 진행할 것”이라며 “광역교통 개선대책도 마련하고 우수기업도 유치해서 자족기반도 갖춘 도시로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춘숙 국회의원은 “용인플랫폼시티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와 함께 용인의 100년을 기획하는 큰 프로젝트”라며 “경기도와 용인시가 긴밀히 협력해 용인시를 명품도시,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도시로 만들어 달라”고 당부했다.
최현호ㆍ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