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헬스 R&D 연 4조원 투자…글로벌 강국 도약한다

앞으로 환자 맞춤형 신약과 신의료기술 연구개발에 활용하는 최대 100만 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가 구축된다.

정부는 22일 충북 오송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비메모리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우리나라 차세대 3대 주력산업으로 중점 육성해 바이오헬스 산업 세계시장 점유율 3배 확대, 수출 500억 달러 달성, 일자리 30만개 창출의 성과를 낸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연간 2조6천억원 수준인 바이오헬스 분야에 대한 정부 R&D 투자를 2025년까지 4조원 이상으로 확대하고 금융·세제 지원도 강화한다. 연 매출 1조원 이상 국산 신약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까지 총 15조원 규모로 조성 중인 ‘스케일업 펀드’를 활용, 향후 5년간 2조 원 이상의 정책금융을 바이오헬스 분야에 투자한다.

또한 제약·바이오를 중심으로 한 바이오헬스 산업의 기술개발부터 인·허가, 생산, 시장출시 단계까지 전 주기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5대 빅데이터 플랫폼, R&D 확대, 정책금융 및 세제지원, 글로벌 수준의 규제 합리화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아울러 최대 100만 명 규모의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희망자를 대상으로 유전체 정보, 의료이용·건강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인체정보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등에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환자 맞춤형 신약·신의료기술 연구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선포식에서 “정부는 바이오헬스 산업을 3대 신산업으로 선정했고 벤처 창업과 투자가 최근 큰 폭으로 늘고 있다”라며 “2030년까지 제약·의료기기 세계시장 점유율 6%, 500억불 수출, 5대 수출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고자 한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