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지역언론 차별 멈춰야” 이영주 도의원 기자회견

이영주 경기도의원이 28일 오전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네이버(NAVER)의 지역언론 차별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윤원규기자
이영주 경기도의원이 28일 오전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네이버(NAVER)의 지역언론 차별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윤원규기자

포털사이트인 네이버가 지역 언론에 대한 차별과 배제를 멈추고, 공생과 성장의 교두보가 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영주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ㆍ양평1)은 28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언로(言路) 독식자 네이버(NAVER)가 이제 지역 언론의 진정한 이웃, 네이버(neighbor)가 돼야 한다”면서 “이를 위한 시민협의체를 출범하고, 구체적 실천 방안을 함께 모색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 의원에 따르면 네이버는 뉴스스탠드와 아웃링크 형식으로 총 215개의 언론사에 입점권을 부여했다. 이중 지역언론사는 33개에 불과하다. 17개 시ㆍ도를 포함해 총 243개 지자체 기준 시 지자체 당 0.13개 즉 1개 지자체에 1개 언론사도 네이버에서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 이 의원의 분석이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네이버 메인화면에 배열된 언론사별 뉴스스탠드는 전국 종합지가 차지하고 있고, 네이버뉴스로 별도 편집된 헤드라인,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섹션별 기사 배열 또한 철저하게 전국 종합지 중심”이라며 “네이버는 주류 대형 언론 매체에 전폭적인 입점권을 부여하는 반면 지역언론, 비주류 독립 언론, 소수 언론 매체에 대해선 전혀 관심이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의원은 네이버에 입점권 부여 권력 해체를 요구하며, 모든 언론 매체에 개방적이기 바란다는 당부를 전했다. 비용이 더 들더라도 지역 언론이 직면해 있는 거대한 장벽을 없애야 한다는 것이 이 의원의 주장이다.

아울러 이 의원은 “지역에서 시민들과 소통하는 언론인들이 포털이라는 더 넓은 무대에 나타나 질 높은 저널리즘을 위한 경쟁을 할 수 있도록 기여하기 바란다”며 “네이버 수입에 도움이 안 된다고 지역언론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언론의 공생과 성장을 위한 교두보를 만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