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연합사령부, 평택 험프리스 기지로 간다

한미 국방장관회담서 이전 합의
연합사령관은 韓 4성 장군 임명

정경두 국방부 장관(오른쪽 두번째)과 패트릭 섀너핸 미국 국방부 장관(왼쪽 두번째) 대행 등이 3일 오전 서울 용산 국방부에서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경두 국방부 장관(오른쪽 두번째)과 패트릭 섀너핸 미국 국방부 장관(왼쪽 두번째) 대행 등이 3일 오전 서울 용산 국방부에서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용산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한미연합사령부 본부가 평택 미군기지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기로 했다. 또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을 행사할 미래연합군사령관을 별도의 한국군 대장으로 임명하기로 했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패트릭 섀너핸 미국 국방부 장관 대행은 3일 서울 국방부 청사에서 한미 국방장관회담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회담 결과를 담은 공동언론보도문을 발표했다.

양국 장관은 회담에서 현재 용산기지에 있는 연합사 본부를 평택 미군기지로 이전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서울 용산 미군기지 소재 연합사 본부는 용산 미군기지 공원화 계획에 따라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게 됐다. 그러나 올해 새로 부임한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이 평택 이전을 선호한다는 의견을 우리 군에 전달하면서 평택기지 이전으로 급선회했다.

양국 장관은 연합사 본부를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연합사 대비태세와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용산공원 조성사업의 원활한 진행이 보장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정 장관과 섀너핸 대행은 연합사 본부의 캠프 험프리스 이전에 따른 실무 사항은 한미 공동실무단을 운영해 구체화하기로 했다고 국방부는 전했다. 양국 장관은 또 ‘미래연합군사령관’은 한국 합참의장을 겸직하지 않는 별도의 한국군 4성 장군으로 임명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미래연합군사령관은 전작권을 행사하는 임무를 맡는다. 애초 합참의장 또는 지상작전사령관 등이 겸직하는 방안이 검토됐다가 최근에 별도의 대장 직위로 두는 쪽으로 결정됐다.

미래연합군사령부 체제로 바뀌면 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한국군 대장) 직위는 없어지는데, 이때 남게 되는 대장 자리 1석을 미래연합군사령관 몫으로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양국 장관은 하반기에 조정된 연합연습을 시행하기로 하고, 앞으로 시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나기로 했다.

연합연습은 한국군 대장 주도로 오는 8월 ‘19-2 동맹’ 이름으로 실시될 연합위기관리연습(CPX)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사연습인 ‘프리덤가디언(FG)’을 대체한 이 연습에서는 한국군의 전작권 행사 능력을 평가하는 최초 기본운용능력(IOC) 검증이 이뤄진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