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사립유치원 전수 감사' 통해 16곳 유치원에 18억 원 '재정상 조치'

경기도교육청이 도내 57개 사립유치원에 대한 전수 감사를 완료하고 처분이 확정된 16개 유치원 명단을 공개했다.

3일 경기도교육청은 도내 사립유치원 전수 감사 결과 16곳의 유치원에 대한 처분을 확정하고 유치원 명단을 도교육청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이들 16개 유치원의 재정상 조치액은 총 18억7천여만 원으로, 1곳당 평균 조치액은 1억1천여만 원 가량이다. 조치액은 유치원에 따라 적게는 400만 원, 많게는 9억 원에 달했다.

이와 함께 도교육청은 2건을 경징계하고 145건을 주의 조처했으며, 세금 탈루가 의심되는 11개 유치원 53억4천여만 원은 국세청에 통보했다.

적발 사례별로 보면 화성의 한 유치원은 해당 교육지원청에 보고하지 않고 별도의 개인 계좌를 개설, 지난 2017년 3월부터 감사 직전인 올해 1월까지 모두 267건에 걸쳐 3억6천만 원을 증빙서류 없이 집행하다 적발됐다.

수원의 한 유치원도 개인 차량 신호위반 과태료와 타이어 교체 등 차량 수리비, 한국유치원총연합회 회비 등을 유치원 회계로 썼다가 적발됐다. 이 유치원은 관리자의 개인 차량 2대의 구매 비용을 유치원 회계에서 빼내기도 했다.

도교육청은 적발된 유치원뿐만 아니라 그동안 성실히 감사받고 결과가 공개된 유치원과의 형평성 등을 고려해 감사자료 제출을 거부한 유치원 16곳의 명단도 함께 공개했다. 도교육청은 다음 달 말까지 원아 수 200명 이상 대형유치원의 감사를 마칠 방침이다.

이재삼 도교육청 감사관은 “사립유치원 공공성 강화를 위해 철저하고 공명정대한 감사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며 “감사자료 제출을 거부하는 유치원은 엄정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설소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