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사회서비스원 윤곽… 17일 ‘설립 타당성’ 공청회

유관기관·단체 관계자 참석
운영 방안등 깊이있는 논의

▲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 사회서비스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17일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의 설립 타당성 및 운영방안을 주제로 한 ‘경기도사회서비스원 설립 공청회’를 마련한다.

이번 공청회는 ▲도의 추진경과 보고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원 운영방안 ▲경기도사회서비스원 설립 타당성 검토 등의 순으로 이뤄진다. 도의회 보건복지전문위원회 위원장 및 의원, 임병우 성결대 교수, 홍선미 한신대 교수 등 각 분야 전문가와 보건복지부 및 도ㆍ시ㆍ군 관련부서, 한국노총ㆍ민주노총, 민간 복지관련 단체 회원 등 15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은 도가 지난 1월 보건복지부의 사회서비스원 시범사업 운영 지역 공모에 선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사회서비스원은 공립 사회서비스 제공 기관 종사자들이 기관에 따라 임금 격차가 있는 등 취약한 고용안정성에 놓여 있는 문제를 해소해 공공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는 정책이다.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은 이를 위해 각 시설을 직접 운영, 시설 종사자를 직접 고용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도는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을 오는 10월 정식 개원, 2022년까지 4개년 추진 계획으로 사회서비스시설 총 126개소를 직접 운영하고 4천272명을 직접 고용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도는 총 19억 8천만 원(국비 12억 4천만 원, 지방비 7억 4만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한편 경기도사회서비스원은 국공립 제공기관 운영, 종합재가센터 운영, 사회서비스 품질관리 지원, 사회서비스 공공성 강화 지원 등 4가지 기능을 바탕으로 한다. 도는 보육시설과 요양시설을 중심으로 우선 운영하되 일반 비영리복지시설까지 앞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김해령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