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 최대 3천100명 부족… 감차 등 노선 조정 불가피
道, 대체 교통수단 투입·인력 충원 유도 등 대책 마련 중
다음달 버스업체의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 시행을 앞두고 경기도와 각 시·군, 버스업체에 비상이 걸렸다. 경기도는 전체 버스의 60% 이상이 7월부터 주당 근로시간을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여야 하는 30인 이상 사업장이며, 준공영제도 5.5%만 시행하고 있어 제도시행에 따른 후유증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13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도내 300인 이상 버스 사업장은 모두 21개로, 6천447대 버스를 운행한다. 이는 경기도 전체 시내버스 1만 584대의 61%에 해당한다. ‘격일제’ 근무를 ‘1일 2교대제’로 전환해 주 52시간 근무에 맞추려면 300인 이상 사업장에만 운전기사가 1만 4천500명∼1만 6천100명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경기도의 버스운전자 양성 노력에도 현재 300인 이상 사업장에 고용된 운전자 수는 1만 3천 명 수준이다. 필요한 인원에 1천500∼3천100명 정도 부족한 상황이다.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 시행을 보름 남짓 남겨둔 상황에서 1천500명 이상을 충원하기는 무리라는 지적이다. 버스업체마다 폐선이나 감차 등 대규모 노선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아울러 도가 지난달 31개 시·군을 통해 파악한 결과, 주 52시간제가 시행되면 전체 시내버스 2천185개 노선 중 46.6%인 1천19개 노선을 조정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가운데 도는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 시행에 대비해 시·군과 함께 중·단기 대책을 마련 중이다. 우선 다음 달부터 대중교통 운행 공백을 최소화하고자 230대의 대체교통수단을 투입할 계획이다. 6억 원의 예산을 편성해 버스업체 파업 등 유사시 임시 전세버스를 투입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또 도는 내년 6월까지 지역 여건을 고려한 버스 운영 모델 발굴 등을 위해 ‘경기도 노선버스 운영체계 개편’ 연구용역을 추진한다. 도는 예산을 조기에 지원하고 운전자 채용박람회 개최 등 맞춤형 취업 지원사업을 벌여 버스업체의 인력충원을 유도할 계획이다. 도는 버스운전자 양성사업을 통해 2022년까지 모두 8천여 명을 양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와 함께 도는 지난달 14일 4종류의 시내버스 중 일반형 버스는 200원, 직행좌석형 버스(광역버스)는 400원 각각 인상하는 내용의 버스요금 인상계획을 발표했다. 주민공청회, 버스정책위원회 심의, 도의회 의견 청취, 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 심의 등 행정절차를 거쳐 요금 인상안을 확정한 뒤 버스 단말기 시스템 교체 작업을 거쳐 9월께 인상된 요금을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