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곡동 산 일부에 인근 아파트 주민 전용 나무계단 등 조성
토지주 “市, GB 이유 개발 불허하더니 연락없이 멋대로 설치”
市 “예전부터 칠보산 등산로로 써와… 원하면 원상복구”
“내 땅이 10년 넘도록 등산로로 쓰이며 훼손될 동안 등산로를 조성ㆍ관리한 수원시는 이런 내용을 단 한 번도 알려주지 않았습니다”
수원시가 개인 소유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부지를 토지주 동의 없이 등산로로 활용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런 가운데 시는 해당 등산로가 언제 조성됐는지 파악도 못 한 채 과거부터 관행적으로 등산로로 쓰인 곳이라는 변명으로 일관, 문제 해결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난 2004년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 산 24-2 부지(6천611㎡)를 6억 원에 사들인 A씨는 최근 해당 부지를 방문했다가 황당함을 감추지 못했다. 사유지인 해당 부지의 약 200m 구간에 토지주인 A씨가 설치하지 않은 나무계단과 울타리, 등산로 안내판 등이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수원시가 설치한 안내판에는 ‘칠보산 관리는 우리 모두의 몫’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는가 하면 ‘반려견 목줄 착용ㆍ쓰레기 투기 금지’ 현수막이 곳곳에 걸려 있었다.
17일 현장에서 만난 등산객 B씨는 “칠보산에 오르거나 약수터에 방문할 때 지나는 길목”이라며 “수원시가 설치한 안내판이 설치돼 있어 당연히 국유지인 줄만 알았지, 개인 땅인지 생각도 못했다”고 말했다. 더욱이 해당 부지는 3천200여 세대의 대단지 아파트인 금곡LG빌리지 후문과 불과 100m도 떨어져 있지 않아 아파트 주민들을 위한 ‘전용 등산로’로 이용되고 있었다.
이에 A씨는 부지 매입 당시에는 사람 한 명 지나갈 정도의 오솔길만 있었는데 시가 동의도 없이 나무계단 등을 설치해 등산로를 조성했다고 주장했다. A씨는 “그린벨트라는 이유로 개발행위와 산림경영 등에 대한 모든 허가를 거절해놓고, 토지주 동의도 없이 등산로를 만드는 것은 가능한 것이냐”며 “사유지가 10여 년간 수많은 시민이 지나다니는 등산로로 쓰이는 동안 관련 내용은 한 번도 전달받지 못했다”고 반발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해당 부지는 과거부터 칠보산으로 올라갈 때 등산로로 써오던 땅이라 토지주에게 별도로 통보하지 않았다”며 “나무계단 등은 정확히 언제 설치됐는지 남아 있는 기록이나 문서가 없는 탓에 A씨가 원하면 원상복구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