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허공으로 날아간 안전도시 인천 공약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박남춘 시장은 ‘안전이 복지다’라는 공약을 제시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서 ‘365일 안전안심 도시’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도 했고, 전담조직으로서 2급을 본부장으로 하는 시민안전본부를 설치하여 운영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공약과 전략이 무색해졌고 시민의 분노를 쌓이게 하는 일련의 대응태세는 박 시장 정부의 무능과 무책임에 대한 질타로 이어지고 있어 인적·조직적 혁신이 요구된다.

지난달 30일부터 시작된 ‘붉은 수돗물’ 사태는 2주가 지나서도 그 원인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피해 지역이 점점 더 확산하고 있다. 인천시와 상수도사업본부가 적절한 대응책도 제시하지 못하면서 주민들의 비난만 사고 있다. 인천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인천시민은 인천시 상수도행정과 위기 대처능력이 얼마나 한심한지를 생생하게 목도했다”라며 “시민의 신뢰를 상실한 인천시는 ‘정부 원인조사반’ 구성 운영을 제시하면서 자체적인 해결 능력이 없는 무능한 지방정부임을 만천하에 공표했다”고 지적했다.

안전도시와 관련해 박 시장 정부에 대한 지적은 물관리뿐만 아니다. 아직도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지 않아 주민이 단식 농성을 이어가고 있는 동구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사태에서도 박 시장의 안전에 대한 대처능력의 한계를 절실히 보인다. 동구 주민들은 안전의 문제를 지속해서 지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신재생에너지의 확충 필요성을 주장하면서 동구에 건립하기로 한 기존 계획에 대해 찬성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 소통과 균형 그리고 안전을 강조한 박 시장의 공약과는 거리가 멀어 주민들의 분노가 극에 달하고 있는 사태이다.

그뿐만 아니라 지난해 송도지역을 중심으로 악취를 호소하는 집단민원이 계속되었지만, 그 원인의 규명은커녕 대처에서도 연수구와 환경부에 떠맡기면서 손을 놓고 있다. 시민의 안전에 대한 박 시장 정부의 인식과 대처 자세에 대해 적나라한 한계를 드러낸 것으로 초심의 공약이 비난받아 마땅한 것이다. 이와 같은 일련의 안전 행정에 대해 초기의 안일한 대처와 우왕좌왕하면서 허둥대는 인천시의 대응전략에 대한 주민과 시민단체의 뼈아픈 지적에 대해 입이 열 개라도 할 말이 없는 상황이다.

날카로운 지적을 받아들이면서 뼈를 깎는 자세로 공약 초심의 정신을 실천해야 한다. 안전도시의 구현은 단순한 구호로서가 아니라 확고한 의지와 실천으로 가능하다. 사태현장을 방문하고 보고받는 등의 일시적인 소통과 전시행정은 더 큰 화를 부르는 행정재난임을 명시해야 한다. 현장을 책임지고 안전을 실천하기 위한 조직과 인적 혁신을 더 미루지 말고 서둘러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