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도 업무 숙련 市공무원 40여명 차출… 상수도본부 투입
수계 관리·정수장 업무·약품 처리 등 전담… 고강도 인적 쇄신
인천시가 안일한 대응으로 ‘붉은 수돗물(적수)’ 사태를 키운 상수도사업본부의 조직에 대한 전면 쇄신에 나선다.
19일 시에 따르면 1천여명이 넘는 인천시 공무원의 경력을 조사했고, 상수도 관련 업무 경험이 있는 전문 숙련자 약 40여명 중 일부를 조만간 상수도사업본부로 발령 낼 계획이다.
숙련자 중에는 화학과 기계, 환경 직렬이 다수 포함됐다.
이들은 적수 사태 때 문제가 발생한 수계 관리와, 정수장 업무, 약품 처리 등을 전담해 업무를 맡게 된다.
앞서 지난 18일 박남춘 시장은 A상수도사업본부장과 B공천정수사업소장을 이번 적수 사태 책임을 물어 직위해제했다.
직위해제 직후 후임으로 본부장에는 박영길 전 에너지정책과장을 임용했고 공촌사업소장에는 김재원 환경녹지국 현 대기보전과장이 자리를 옮겨 사태 수습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부평·노온·남동정수사업소, 풍납 취수장, 급수부 등에서 17~21년의 상수도 근무경력을 갖춘 베테랑이다.
그동안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정년 퇴직이 1~2년 남은 고위 공무원들이 발령받아 오는 한직으로 여겨졌다.
실제 적수 사태를 해결해야 할 상수도사업본부 간부 직원 절반이 6월 명예퇴직과 공로연수 등을 앞두고 있다.
4급 이상 간부 15명중 6명이, 5급 15명 중 8명이 명퇴 등을 신청해, 전체 간부 30명 중 14명이 자리를 비울 것으로 예상됐었다.
이같은 이유로 적수 사태 초기 대응, 사고 수습 과정 등이 미흡했다는 문제가 시 안팎에서 제기됐고, 고강도 인적 쇄신에 나서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에 대해 조명래 환경부 장관도 “담당 공무원들이 매너리즘에 빠져 문제 의식 없이 행정을 처리했다”며 “발생할 여러 문제점을 충분히 예상 가능한데 무리했다”고 지적했다.
허종식 시 균형발전정무 부시장은 “부장급 이상 고위직뿐 아니라 하위직 인사도 대대적으로 단행할 것”이라며 “책임 소재를 정확히 따지기 위해 감사원 감사 등을 검토하고 관련자들은 검찰 수사 의뢰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시민 불안감 불식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한국수자원공사 등 정부 전문 기관에 ‘아웃소싱( 위탁처리)’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하고 있지만 실현 가능성은 낮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