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환경·화학·기계 직렬 40여 명 상수도본부 발령 예고
미세먼지·친환경 에너지 등 담당부서 특수직 인력난 우려
인천시가 환경과 화학 등의 전문 인력을 상수도사업본부에 배치키로 하면서, 인력을 차출해야 하는 시청 실·국에서는 인재 유출의 우려가 나오고 있다.
20일 시에 따르면 상수도 관련 업무 경험이 있는 환경과 화학, 기계 직렬을 중심으로 선별한 약 40여명 중 일부를 상수도 사업 본부로 발령낼 계획이다.
환경과 화학 등 직렬은 특수 직렬로, 시 내부에서도 인원이 매우 적다.
문제는 미세먼지 정책 강화와 쓰레기 대체매립지 찾기, 부평 캠프마켓 등 오염 부지 조사, 폐기물 문제 등 굵직한 환경 관련 업무들이 앞으로 예정돼 있다는 것이다.
시는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올해 환경직만 12명을 충원했다.
이 정도의 대규모 증원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매해 평균 1명의 환경직만 증원했고 2016년 이례적으로 5명을 뽑았다.
때문에 시에서는 환경 관련 업무를 맡을 직원들이 태부족한 상황이다.
실제 시 환경녹지국 환경정책과는 총 19명 정원에서 환경직이 6명, 녹색기후과도 19명중 5명, 자원순환과도 25명중 9명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일부 소수직렬을 제외하고, 환경과 관련 없는 행정직이 환경 업무를 맡고 있다.
더욱이 오는 7월 신설하는 유해환경팀은 인천지역 2만여 제조업체들에 대한 조사·관리를 맡는다.
화학물질관리법이 개정되면서 정부 업무가 지방자치단체로 이관했기 때문이다.
화학 등 공업 직렬도 인원이 부족하기는 마찬가지다.
정부가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대대적으로 추진하면서, 시 에너지정책과는 과중한 업무에 인력이 부족하다.
특히 재생에너지 사업 중 하나인 동구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 추진에 커지는 잡음을 진화하기 위해 부족한 행정력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다.
한 환경직 공무원은 “적수 사태를 조속히 처리하는 것은 맞지만, 숙련된 환경과 화학 직렬을 빼가면 시청의 업무 공백이 우려된다”며 “수요가 많은 직렬을 더 늘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인수 정책기획관은 “올해 환경직 12명 충원했고, 앞으로도 관련 직렬 수요를 조사할 것”이라며 “시민들이 환경 문제에 민감한 만큼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