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네이버 데이터센터 유치 앞장서야

지역주민의 오해에서 비롯한 갈등으로 용인시가 추진했던 네이버 제2데이터센터 건립이 무산돼 새로운 입지를 찾고 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세계주요도시와 IT기업이 경쟁적으로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서는 상황에서 네이버도 멈출 수 없는 사업이다. 네이버는 용인시에 건립을 포기하고 다른 지자체를 상대로 공모 절차를 다음 달에 시작할 예정이다. 이에 인천시도 일부 지역 주민들의 오해와 지역이기주의를 불식하고 경제자유구역을 비롯해서 적정한 입지를 모색해 적극적으로 유치에 앞장서야 한다.

네이버가 추진 중인 제2데이터센터는 약 13만2천㎡ 규모로 구축비용만 5천400억원에 달하는 대형 프로젝트로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되는 사업이다. 우선적으로 지역 내 첨단 테크놀로지 산업이 활성화될 것이다. 네이버의 데이터센터는 국내 주요 IT 기업들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라우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국내 정보산업의 집결지로 선점하는 계기가 된다. 앞으로 5G 상용화와 인공지능, 자율주행차 개발 가속화 등으로 인해 대규모 빅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 분석할 데이터센터의 수요가 폭증하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그동안 새로운 IT 생태계 구축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러나 아직도 그 성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해 새로운 도약의 전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에 바이오산업과 스마트시티 등을 추진해 어느 정도 초기 기반이 있어 데이터센터 유치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좋은 프로젝트이다. 특히 송도·청라·영종 등 전체 경제자유구역에 5G 자율주행의 적용을 준비 중이고 셀트리온이 바이오 빅데이터센터 구축을 논의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시너지 효과는 막대할 것이다.

용인시가 일부 주민의 반대와 행정처리 지연 등을 높은 진입장벽을 내세워 무산시킨 사례를 인천시는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반대하는 주민들의 의견은 초등학교의 학습권 침해, 주거지 인근 난개발, 전자파 위험 등 불확실한 피해를 주장하고 용인시는 적극적으로 설득하지 못한 결과이다. 해외 사례에서도 데이터센터 건립에 대한 주민반대가 있지만 그 주장과 논거에 차이가 있다. 아마존의 미국 뉴욕 롱아일랜드 제2본사가 무산된 이유는 주민들이 집값과 생활비 상승, 교통비 혼잡을 이유로 반대했다. 약 2만5천명의 추가 고용을 제시한 아마존의 경제효과에 따른 고밀개발의 도시문제가 그 핵심이었다.

인천시는 아직도 경제자유구역에 신규 투자유치가 필요한 현실을 직시하고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일부 잘못된 정보나 편협한 지역이기주의로 인해 기회를 상실하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 공직자들이 적극 나서서 주민과 소통하고 공감하면서 미래를 내다보는 선진 행정을 구현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