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통일교육·탈북민 지원
정부 시범사업과 중복 우려
경기도의회가 평화통일교육과 탈북이주민 지원 등의 역할을 고루 갖춘 ‘경기도 통일희망센터’를 추진한다. 하지만 통일부가 인천시와 시범사업으로 설치한 ‘인천 통일+센터’와 같은 시설을 추가로 광역자치단체에 설립 시 중복 문제 우려가 있어 향후 해결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30일 경기도와 도의회에 따르면 도의회는 김영준 도시환경위원회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광명1)이 대표발의한 ‘경기도 통일희망센터 설치 및 운영 조례’를 지난 28일 입법예고했다. 이 조례는 7월 9일부터 열리는 제337회 임시회에 상정돼 심의될 예정이다.
해당 조례는 도지사가 통일 관련 강연ㆍ세미나ㆍ 토론회, 탈북이탈주민 취업 지원 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한 경기도 통일희망센터를 설치할 수 있다는 내용을 골자로 했다. 특히 도지사는 센터를 원활하게 운영하고자 직접 관리ㆍ운영하거나, 전문기관에 위탁할 수 있다는 조항을 포함했다. 아울러 센터의 사업개발 및 원활한 운영을 위해 관계기관 및 시장ㆍ군수와 협력해 다양한 통일기반 네트워크를 구성ㆍ운영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이밖에 원활한 센터 운영을 위한 자문단 구성ㆍ운영도 추가했다.
이에 대해 도는 통일부가 지난해 인천시를 선정해 추진한 시범사업인 ‘인천 통일+센터’를 설립ㆍ운영하고, 향후 타 광역자치단체에도 이 같은 통일 관련 시설을 설치할 것으로 예상돼 중복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통일부가 ‘통일문화센터’ 등도 건립, 각종 통일 관련 시설 설립이 정부 주도로 이뤄지는 상황에서 앞서나갈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김영준 부위원장은 “통일희망센터는 경기도가 선도적으로 평화통일 공감대를 확산, 다양한 평화통일 관련 정보 및 교육기회 제공을 위해 설치할 필요가 있다”면서 “통일부가 진행하는 사업에 대해서는 확인해 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입법예고 기간 동안 검토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