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성장률 목표 2.4∼2.5%로 0.2%P 낮춰

내년 실질 GDP 성장률, 0.1∼0.2%P 높은 2.6% 제시

정부가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반년 전보다 0.2%P 하향 조정한 2.4∼2.5%로 내놨다. 취업자 증가 폭은 기존 전망보다 5만 명 늘어난 20만 명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3일 발표한 ‘2019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한국경제를 이같이 전망했다. 정부는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4∼2.5% 성장할 것으로 봤다. 이는 직전 전망(이하 작년 12월 발표 2019년 경제정책방향) 때보다 0.2%P 하향조정한 것이다. 경상 GDP 증가율 전망은 3.9%에서 3.0%로 내렸다.

올해 소비와 투자 전망치 역시 낮췄다. 민간소비는 작년보다 2.4%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직전 전망(2.7%) 때보다 0.3%P 아래다. 설비투자는 -4.0%를 제시했다. 작년 말에는 1.0%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감소로 판단을 바꿨다. 건설투자는 -2.8%로 예상했다. 기존 전망 -2.0%보다 감소폭을 크게 봤다.

정부는 대외여건 악화로 투자와 수출이 어려운 상황에서 국회에 계류 중인 6조7천억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추경)안 효과, 투자·수출 활성화 등 활력 제고 노력을 반영해 이런 전망치를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취업자 증가 폭은 20만 명으로 전망했다. 각종 일자리 정책 효과가 나타남에 따라 직전 전망보다 5만 명 상향 조정했다. 작년 실적(9만7천명 증가)보다는 2배 이상 크다는 예상이다.

소비자물가는 0.9%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직전 전망보다 0.7%P나 낮다. 정부는 올해 유가 하락과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 등 주로 공급 측면에서 나타나는 안정세를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올해 수출은 작년보다 5.0%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작년 말 전망은 3.1% 증가였지만, 지난 6월까지 7개월 연속 작년 동월 대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는 점을 반영했다.

정부는 올해 수입도 4.1%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작년 말 정부의 전망은 4.2% 증가였다. 수정된 수출과 수입 등을 고려해 정부가 제시한 올해 경상수지 전망은 605억 달러 흑자였다. 작년 말 전망 640억 달러에서 35억 달러 축소됐다.

정부는 내년 한국경제 전망치도 이날 함께 발표했다. 바닥을 치고 올해보다 다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내년 실질 GDP 성장률은 올해 전망치보다 0.1∼0.2%P 높은 2.6%를 제시했다.

취업자 증가 폭은 20만 명으로 올해 전망치와 같고, 소비(2.5%)·설비투자(2.8%)·건설투자(-1.5%)는 올해보다 다소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마이너스로 전망한 수출과 수입도 내년에는 각각 2.1%, 2.0% 증가로 반등할 것으로 예상했다. 경상수지 예상은 635억 달러 흑자다.

민현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