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규제를 본격화하자 은행권이 피해기업 지원에 나섰다. 신규 자금을 공급하고 금리를 감면하거나 상환을 유예하기로 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5개 시중은행은 은행별로 피해기업에 대해 금융지원을 대책을 내놨다.
신한은행은 피해 기업들을 돕기 위해 ‘일본 수출 규제 금융애로 신고센터(이하 ‘금융애로 신고센터’)’를 설치하고 종합금융지원을 한다. ‘금융애로 신고센터’는 이번 조치로 인해 피해가 예상되거나 발생한 기업에 관련 정부지원 정책 등 각종 정보 및 재무 컨설팅을 제공하며 지원이 필요한 기업은 전국 신한은행 영업점을 통해 상담을 신청할 수 있다. 또한 국내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소재·부품 기업 여신지원 전문 심사팀도 신설 운영한다.
신한은행은 이번 일본 수출 규제로 인해 일시적으로 자금운용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대상으로 업체당 10억 원 이내 총 1조 원 규모의 신규 대출을 지원한다. 피해 기업 중 대출금 분할상환 기일이 도래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분할상환을 유예할 예정이며 신규 및 연기 여신에 대해서 최고 1%p까지 금리도 감면한다.
우리은행은 피해기업에 3조 원 규모의 금융지원을 한다. 먼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대표적인 수출규제 피해산업의 협력사를 지원하기 위해 1조 원 규모의 상생대출을 지원하고, 신보와 기보 특별출연을 통해 8월중에 5천억 원을 우선 지원하며 2020년까지 1조 5천억 원 규모의 여신을 지원한다.
또한, 피해기업에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500억 원 규모의 ‘경영안정 특별지원자금’을 조성해 신규 자금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만기연장이나 분할 상환, 납입 기일 유예 등을 통해 상환 부담을 낮추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KB국민은행은 ‘긴급 경영안정자금’을 지원해 피해 중소기업에 대한 유동성 지원에 나선다. 피해 기업의 만기도래 여신에 대해서는 상환을 유예하고 최대 2%P의 우대금리도 제공한다. 분할상환대출을 보유한 피해기업은 원금 상환을 유예해 상환 부담을 낮춰줄 계획이다.
또한, 수출입 기업들에 대해서도 환율 우대와 함께 외국환 관련 수수료 감면·면제 혜택을 제공하여 기업의 비용 부담을 줄여줄 계획이다.
KEB하나은행은 일본의 수출 규제에 따른 피해기업들과 피해기업 임직원을 돕기 위해 금융지원을 한다. 먼저, 반도체 제조업 등 일본 수출 규제와 연관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출의 만기연장을 지원하고, 여행사, 저가항공사 등 불매운동으로 피해를 보게 되는 업체를 대상으로도 대출금 상환을 유예해 주기로 했다.
또한, 수출제한 품목 확대에 따른 연관 산업의 생산차질이 예상됨에 따라 연관 산업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금리 감면 지원을 확대해 유동성을 지원한다.
특히, 피해기업뿐 아니라 피해기업의 임직원에 대해서도 금융지원을 한다. 최대 1.0%의 대출금리를 우대하고 수수료 감면과 대출 연장을 지원하며, 일본계 저축은행 및 대부업체에서 개인대출 상환 압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환을 지원키로 했다. 피해기업 임직원을 위한 신규 특화 대출상품도 출시할 계획이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이번 일본의 수출 규제로 인해 피해를 본 기업들과 해당 임직원들을 지원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제전반으로 위험이 전이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신속하고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지속해서 추가 지원방안을 마련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서울=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