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발자취 따라가면 ‘극일운동’과 만난다

파란만장한 삶 ‘죽산 조봉암 생가터’ 돌아
강화 ‘독립운동길’

조봉암 기념비

 

인천 강화군의 스토리 워크길 ‘독립운동길’은 죽산 조봉암 기념비(생가터), 백범 김구 방문 고택,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31운동 기념비 등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관련한 역사적 공간들이 즐비하다. 인천의 독립유공자 120명 중 68명(56.7%)이 강화 출신이기도 하다. 독립운동길을 따라 걸으면 민족교육계몽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강화의 독립운동 역사를 직접 느껴볼 수 있다.

강화관광플랫폼에서 시작하는 독립운동길에서 가장 먼저 만나볼 수 있는 독립운동의 역사는 ‘조봉암 기념비’다. 강화읍사무소 옆에 자리잡은 기념비는 이곳이 조봉암 선생 생가터임을 알리는 표시석과 함께 있다. 생가터는 현재 복원을 추진 중이다.

▲ 강화중앙교회
▲ 강화중앙교회

조봉암 선생은 강화 3·1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한 인천의 대표 독립운동가로, 1919년 3월 18일 주동자로 체포당한 이후 서대문 형무소에 수개월간 복역했다. 이후 대한민국 초대 국회의원을 역임하다가 북한과의 평화통일을 주장하던 중 간첩으로 몰려 사형당했지만, 지난 2011년 반세기 만에 무죄판결을 받았다.

다음으로 만나보는 ‘대한성공회 강화성당’은 지난 1900년 전통적인 조선 한옥 구조물에 서양 건축양식을 수용해 지은 건축물이다. 현존하는 한옥 교회 건물로서 가장 긴 역사를 갖고 있기도 하다. 근대화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했고, 일제의 전쟁물자 공출로 아픔을 겪는 등의 슬픈 역사를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다.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길을 따라 이어지는 ‘3·1운동 기념비’는 탑골공원에서 전국적으로 퍼진 3·1독립만세운동에 동참해 조국의 광복을 쟁취하려 지난 1919년 3월 7일 강화읍 장날에 모인 강화군민 등 약 2만4천여명을 기념하고 있다. 이

기념비는 지난 1994년 강화읍 관청리에 세워졌다가 2011년 8월 9일 용흥궁 공원으로 옮겨졌다.

플랫폼으로부터 도보로 약 8분 거리에 떨어진 ‘강화중앙교회’는 일제강점기 기독교인들이 앞장서 민족·교육·계몽운동을 펼친 곳이다. 인근 ‘합일초등학교’는 지난 1908년 사립제일합일학교로 정식 인가를 받은 이후 많은 지도자를 양성했다. 특히 합일초는 김구 선생이 친필로 쓴 홍익인간 휘호를 보관하고 있다.

▲ 합일초등학교 내 김구 선생 친필 홍익인간 휘호
▲ 합일초등학교 내 김구 선생 친필 홍익인간 휘호

 

합일초 이외에도 독립운동길에는 김구 선생의 발자취를 느낄 수 있는 장소가 있다. 바로 ‘김구 방문 고택’이다. 김구 방문 고택은 김구 선생이 지난 1946년 강화도를 방문해 평소 자신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던 강화지역 지인들과 기념촬영을 한 곳이다. 동서양이 어우러진 근대 한옥으로 독립운동의 역사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귀중한 장소라 할 수 있다.

조봉암 선생 생기터

 

앞으로 인천에서는 독립운동길과 같이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역사적 문화 공간이 계속 늘어날 전망이다. 인천시 중구는 지난 2∼7월 연구 용역을 통해 김구 선생의 감옥 탈출로와 축항 노역길, 그의 어머니가 다녔던 옥바라지 길 등 3가지 경로를 고증했다. 구는 고증을 거쳐 추정한 이 3개 경로에 표지판과 상징물을 설치해 하나의 ‘독립운동의 길’로 엮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인천 감리서가 있던 중구 내동 83을 중심으로 김구 역사 거리를 조성할 계획이다.

▲ 강화 31운동 기념비
▲ 강화 31운동 기념비

인천의 독립운동 역사를 콘텐츠로 개발 중인 인천관광공사의 한 관계자는 “강화의 독립운동길 등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 관련 장소 및 인물들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콘텐츠 공간”이라며 “이러한 콘텐츠를 계속 개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