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역대 최고의 치안 안전수준을 비롯해 여성 체감안전도가 향상됐다는 자체 조사 결과를 발표했지만 현실을 반영하지 않았다는 쓴소리가 여성계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경찰청은 1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9 상반기 체감안전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상반기 체감안전도는 74.5점으로 지난해 하반기(73.5점)와 비교하면 1점이 상승했다. 이는 2011년 처음 조사를 시행한 이후 최고점수다.
체감안전도 주요 평가항목인 범죄안전도는 80.3점으로 역시 최고점을 기록했다. 경찰청은 경찰관 증원과 탄력순찰 시행,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 기법인 셉테드(CPTED) 확대 등 치안 정책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했다.
경찰은 특히 남성과 여성이 느끼는 범죄안전도 격차가 줄었다는 데 의미를 부여했다.
올해 상반기 남성의 범죄안전도 점수는 남성이 82점으로 여성(78.1점)보다 3.9점이 높았다.
범죄안전도 성별 격차는 크게는 7점 이상 벌어질 때도 있었는데 그 폭이 크게 줄었다고 경찰청은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경찰청의 발표를 두고 자화자찬이라는 지적도 일고 있다. 범죄안전도 평가체계가 지엽적이고 여성 불안감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것이 그 이유다.
범죄안전도 조사 항목의 경우 ▲절도ㆍ폭력 등과 같은 범죄로부터 얼마나 안전하다고 생각하는지 ▲ 강도ㆍ살인 등과 같은 범죄로부터 얼마나 안전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두 가지 항목으로 설계돼 있다.
이에 반해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성폭력과 디지털 성범죄, 스토킹, 데이트폭력 등에 대한 인식은 설문에 반영되지 않았다.
송란희 한국여성의전화 사무처장은 “여성들이 사회안전에 대해 크게 불안감을 느낀다는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와는 동떨어진 결과”라며 “경찰의 발표는 여성 대상 범죄에 대한 여성들의 체감안전도를 전혀 반영하지 못할 뿐 아니라 경찰에 대한 신뢰마저 떨어뜨린다”고 지적했다.
양휘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