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아파트 분양권 보름새 최고 1억2천만원 넘게 상승
이르면 오는 10월부터 투기과열지구에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한다는 정부발표가 나온 이후 신축 아파트 가격은 강세를 보이는 반면 재건축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18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의 집값은 0.02% 올라 전주 상승 폭(0.04%)에 미치지 못했다.
분양가 상한제를 앞두고 매수자들이 관망세를 보이면서 재건축 추진 아파트단지의 상승세가 둔화한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0.02% 오르면서 전주보다 상승 폭이 0.07%포인트 낮아졌다.
서울 송파구의 대표적인 재건축 단지인 잠실주공5단지는 전용면적 82㎡가 지난달 21억1천425만원에 거래됐지만, 현재 호가 21억원을 밑도는 매물이 다수다.
재건축 추진 단지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면적 84㎡는 지난달 초 19억7천만∼19억9천만원에 거래됐지만, 현재 호가가 18억7천만원까지 내려간 물건이 나왔다.
반면, 준공 5년 이하의 신축아파트는 지난주 0.05% 올라 오름폭이 전주보다 0.04%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 7월에 준공한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 신대림신동아파밀리에2차는 정부의 분양가 상한제 발표 직후인 13일 전용면적 84㎡ 매물이 역대 최고가인 7억6천800만원에 거래됐다. 약 한 달 전에 나온 비슷한 물건이 7억3천만원에 거래된 것보다 3천800만원 오른 금액이다.
2015년 9월에 준공한 서울 강남구 대치동 래미안대치팰리스1단지는 전용면적 84㎡가 지난달 26억원에 매매됐으나 현재 26억5천만∼28억원에 시세가 형성돼 있다.
서울시와 마찬가지로 투기과열지구인 성남시 분당구도 상황은 비슷하다.
2021년 6월 준공 예정인 판교더샵퍼스트파크 전용 114㎡의 분양권은 지난달 29일 11억1천250만∼11억2천370만원에 매매됐지만, 8일 11억6천410만원에 거래되더니 분양가 상한제 발표 이후인 16일에는 12억3천490만원까지 매매가격이 급상승했다.
분양가 상한제로 재건축 단지의 수익성 악화와 사업 추진 일정 연기, 신규 아파트의 공급 위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집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
분양가 상한제 시행으로 억대의 추가분담금을 내야 하는 서울 강남권 주요 정비사업 조합 가운데 일부는 일반분양 물량을 대폭 줄이는 방식의 설계변경과 1대1 재건축 등도 대안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반분양 물량이 30가구 미만일 때는 분양승인 대상에서 제외돼 분양가 상한제를 적용받지 않기 때문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