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평화의 물결과 함께 비무장지대(DMZ) 도로ㆍ철도 개설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경기도가 평화로(국도 3호선)ㆍ통일로(국도 1호선)를 세계적인 경관 도로로 구축, DMZ 도로 자체를 관광 명소로 개발하자는 의견이 제시됐다. DMZ의 생태적 가치가 높은 만큼 과감한 정책적 판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경기연구원은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DMZ 도로는 굽은 흙길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정책 목표 중 하나인 한반도 신경제공동체를 구현하려면 DMZ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도로ㆍ철도 개설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는 동서 방향의 DMZ 생태 벨트와 교차 충돌할 가능성이 큰 만큼 남쪽 구역에서만 동식물 5천929종이 출현하고 멸종위기종 101종이 서식하는 DMZ 내 생태계 가치를 훼손할 수도 있다.
이에 연구원은 DMZ 생태계를 배려한 도로 건설 대안으로 반지하ㆍ반지상 개념 설계, 도로 폭보다 노선 수 제한, 교통량에 따라 완충구역 폭 확대, 생물 종이 많고 민감한 습지 생태계는 우회 또는 저속 설계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도 차원에서 한반도의 허리가 될 평화로를 선택, 세계적인 경관 도로로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국가, 도, 고양시, 파주시가 통일로에 대한 경관 개선에 협력해 향후 북으로 확산하자는 방안도 내놓았다.
이와 관련, 연구원은 지난달 수도권 주민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대다수가 DMZ와 남북 접경지역 활용 때 우선해야 할 핵심가치로 ‘경제적 가치’(17.5%)보다 ‘환경적 가치’(81.9%)를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수행한 이양주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아마존 산림 파괴나 경부고속철도 건설 등의 사례에서 보듯 DMZ 생태계에서도 가장 위협적인 요소는 도시가 아닌 도로 건설”이라며 “생태계를 최우선으로 하더라도 아름다운 구간, 멋진 다리 등으로 도로 자체가 관광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