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일본, 우리 주력산업 가로막을 수 있는 보복조치”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일본은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우위를 배경으로 우리 주력 산업을 가로막을 수도 있는 보복조치를 했다”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농협은행 본점을 방문, 경쟁력 강화가 시급한 소재·부품·장비 분야 국내 기업에 투자하는 주식형 펀드인 ‘필승코리아 펀드’(NH-Amundi 필승코리아증권투자신탁 상품)에 가입하며 이같이 말했다.

대일(對日) 의존도가 높은 핵심 부품·소재 산업 자립화에 속도를 내겠다는 탈(脫)일본 기조를 몸소 실천하려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이 금융상품에 직접 투자한 것은 취임 후 이번이 처음이다.

이어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며 “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위상도 높여야 하고, 수입선을 다변화하거나 기술도입이 필요하다면 M&A를 하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산업) 경쟁력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아왔지만, 소재·부품·장비에서는 해외에 의존했기 때문에 부족한 부분이 있었고, 수익성을 높이는 데에도 한계가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재·부품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면 제조업 전체의 수준을 높이는 일이 된다. 일본의 무역 보복에 대한 대응조치로서뿐만 아니라 우리 경쟁력을 위해 매우 필요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이런 시기에 농협에서 펀드를 만들어 기쁘다. 저도 가입해 힘을 보태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미 성공한 기업이 아닌, 미래 발전 가능성에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위험부담도 없지 않다”면서도 “판매 보수, 운용 보수를 줄여서 이익이 돌아가도록 했고 수익 절반은 소재부품 장비에 지원하기로 했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반드시 성공 시켜 많은 분이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제2, 제3의 펀드가 만들어지도록 앞장서 노력해 달라”라고 강조했다.

간담회에는 윤봉길 의사의 후손이자 농협 음성축산물공판장에서 일하는 윤태일 씨도 참여, “이번 상품은 윤봉길 의사와 애국으로 연결된다. 농협이 흔들림 없는 독립을 위해 불쏘시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필승코리아 펀드는 상품 출시 후 약 10일 동안 총 310억 원이 투자됐다. 이 중 범농협 계열사가 300억 원, 일반인 투자액은 10억 원 수준이다.

강해인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