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선·수인선 종착역인 ‘인천역’ 출발
월미공원~문화의 거리~이민사 박물관
6.1㎞ 구간 4개 역 시속 14.4㎞로 운행
월미도 관광1번지 ‘명성 회복’ 견인 기대
“레일 따라 인천항 등 인천 앞바다, 관람차 등 놀이공원, 도심 풍경까지 한눈에….”
인천 월미도 외곽을 일주하는 월미바다열차가 오는 10월 8일 정식 개통한다. 지난 2009년 7월 인천도시축전 개막을 앞두고 개통하려다 멈춰선 뒤 무려 10년 만이다.
인천시와 인천교통공사는 경인선·수인선 종착역인 인천역을 출발해 월미공원 입구와 문화의 거리, 이민사 박물관 등 4개 역 6.1㎞ 구간을 운행하는 월미바다열차를 10월 8일 개통한다고 27일 밝혔다.
월미바다열차는 2량 1편성으로 운행하며, 1편당 승객 정원은 46명으로 연간 95만명을 태울 수 있다. 평균 차량 속도는 시속 14.4㎞로, 전 구간을 한 바퀴 도는데 약 35분이 걸리며 운행 간격은 약 10분이다.
요금은 성인 8천원, 청소년·노인 6천원, 어린이 5천원으로 책정됐다. 단 개통 기념으로 연말까지는 성인 6천원, 청소년·노인 5천원, 어린이 4천원의 할인가를 적용한다. 매주 월요일은 쉰다.
월미바다열차는 부실시공 때문에 개통도 못 하고 폐기된 월미은하레일의 대체 사업으로 추진됐다. 지난 2009년 시운전 기간 각종 결함에 따른 사고가 발생해 개통이 무기한 연기됐고, 결국 2016년 역사와 교각만 남기고 차량과 선로는 폐기됐다.
시와 교통공사는 대체사업으로 민간업체와 손잡고 레일바이크 사업, 8인승 소형 모노레일 사업 등을 잇달아 추진했다. 하지만 모두 여의치 않자 지난 2017년 4월 교통공사 재정사업으로 전환했다.
월미은하레일에 투입된 비용은 건설비 853억원을 포함해 금융비용까지 약 1천억원에 이르고, 월미바다열차 차량 도입과 시스템 구축에 183억원이 추가로 투입됐다.
교통공사는 개통 초기에는 공사 직영으로 운영하다가 수년 뒤 민간 운영사에 위탁 운영을 맡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시는 월미바다열차가 인천 관광 1번지 역할을 해온 월미도의 옛 명성을 되찾는데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오는 2024년 수도권 첫 국립해양박물관인 인천해양박물관이 문을 열고 중구·동구 원도심 재생사업인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까지 원활하게 추진되면 월미도가 수도권의 대표 해양 친화 관광지의 면모를 갖출 것으로 보고 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월미바다열차가 관광 부흥과 지역 상권 활성화 효과를 낳으며 내항과 구도심을 연결하는 지역 통합, 사람과 환경을 아우르는 도시재생 사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