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4년까지 싱크홀 등 지반침하 절반으로 줄인다

정부가 오는 2024년까지 싱크홀(땅이 꺼져 생긴 구멍) 등의 원인이 되는 지반침하(地盤沈下) 현상을 현재의 절반 수준으로 줄인다.

국토교통부는 2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제1차 지하안전관리 기본계획’(2020∼2024년)을 공개했다.

정부 계획을 보면 지난해 기준 연간 338건인 지반침하 발생 수를 2024년 169건으로 축소하고 현재 60.8% 정도인 선진국 대비 지하안전관리 기술 수준을 같은 시점까지 9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다.

지금 15개 특별·광역시만 포함된 지하공간 통합지도의 범위도 2024년 전국 162개 시·군까지 넓힐 계획이다.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해 우선 지방자치단체는 지하 안전 관련 총괄 부서를 설치하고 지하안전영향평가제도의 실효성을 높인다.

국토부는 지하안전 영향평가서 표준 매뉴얼, 지하시설물 안전점검 세부지침 등을 마련하고, 빅데이터 기반 미래형 지하안전관리 기술을 확보하는 데 주력한다.

아울러 국민의 지하안전 관련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홍보 콘텐츠도 개발하고 웹툰, SNS(사회관계망서비스)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적극적으로 안전성과 관리 현황을 홍보할 예정이다.

구헌상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이번에 수립된 지하안전관리 기본계획이 현장에서 실효성을 확보해 안전한 국토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