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의 새 주인 자리를 놓고 애경, 미래에셋대우, 행동주의 사모펀드 등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금호산업과 매각 주간사인 크레디트스위스(CS) 증권은 3일 아시아나항공 예비입찰을 마감했다고 밝혔다.
이날 입찰에는 당초 인수 의지를 밝힌 애경과 행동주의 사모펀드(PEF) KCGI, HDC현대산업개발이 재무적 투자자(FI) 미래에셋대우와 손을 잡고 입찰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기업 SK, CJ, 한화 등은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다만, 금호산업과 CS증권 측이 입찰 참여 기업을 공개하지 않아 추가로 인수전에 참가한 기업이 있을 가능성도 남아있다.
이번 매각은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주식 6천868만 8천63주(지분율 31.0%·구주)와 아시아나항공이 발행하는 보통주식(신주)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애경그룹은 공식 입장을 통해 “예비입찰 마감 전까지 서류를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애경은 국내 최대 저비용항공사(LCC)인 제주항공을 보유하고 있다.
미래에셋대우도 아시아나항공 인수전 참여를 공식화했다.
미래에셋대우는 재무적투자자(FI)로 참여하고 HDC현대산업개발이 전략적투자자(SI)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한진칼 2대 주주로 이름을 알린 사모펀드 KCGI도 아시아나 예비입찰에 참여했다.
금호산업과 CS증권은 약 1주일 안에 쇼트리스트를 추리고 1개월가량 실사를 거쳐 우선인수협상 대상자 선정과 주식매매계약 체결 등 매각 작업을 연내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아시아나항공 인수 대금은 구주 인수대금 약 4천500억원에 신주 발행액, 경영권 프리미엄(20∼30%)까지 얹으면 1조원 이상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에어서울, 에어부산, 아시아나IDT 등 6개 자회사까지 통매각이 원칙이어서 매각 가격은 1조5천억원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강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