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명절을 앞두고 택배·결제 문자를 사칭 등의 보이스피싱 수법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 지역은 피해건수와 피해액이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돼 도민들이 주의를 더욱 기울일 필요가 있다.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은 추석을 앞두고 가족·친지 등 사칭, 택배·결제 문자 사칭 및 일반 전화번호로 위장한 보이스피싱 수법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10일 안내했다.
추석연휴 중 명절 인사, 가족 모임 등을 위장해 자금을 이체할 것을 요구하거나 출처 불명의 앱, URL 주소를 링크해 클릭하도록 유도해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택배 조회, 모바일 상품권·승차권·공연예매권 결제·증정을 위장한 스미싱 문자도 나타났다. 광고성 번호 차단 조치가 강화되면서 최근에는 일반 전화번호로 위장한 보이스피싱 수법까지 나왔다. 광고성 번호(070)가 아닌 일반 지역번호(02 등), 휴대폰 번호(010), 공공기관 전화번호(112,119 등)로 위장한 보이스피싱 전화에 주의해야 한다.
보이스피싱 사기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금융당국은 ▲대출 처리비용 등을 이유로 선입금 요구 ▲저금리, 정부지원 대출상품이 가능하다며 선입금 요구 ▲검찰·경찰·금감원이라며 안전계좌로 이체 요구 ▲계좌 비밀번호, 인증서 비밀번호 등 개인금융정보 요구 ▲가족 납치·협박 등을 하며 금전을 요구할 경우 무조건 사기라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은 보이스피싱 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십계명’을 지키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십계명은 ▲전화로 정부기관이라며 자금이체를 요구하면 일단 보이스피싱 의심 ▲전화·문자로 대출 권유 받는 경우 무대응 또는 금융회사 여부를 확인 ▲대출 처리비용 등을 이유로 선입금 요구시 보이스피싱을 의심 ▲고금리 대출 먼저 받아 상환하면 신용등급이 올라 저금리 대출이 가능하다는 말은 보이스피싱 ▲납치·협박 전화를 받는 경우 자녀 안전부터 확인 ▲채용을 이유로 계좌 비밀번호 등 요구시 보이스피싱 ▲가족 등 사칭 금전 요구시 먼저 본인인지 확인 ▲출처 불명 파일·이메일·문자는 클릭하지 말고 삭제 ▲금감원 팝업창 뜨고 금융거래정보 입력 요구시 100% 보이스피싱 ▲보이스피싱 피해발생시 즉시 신고 후 피해금 환급 신청으로 추가 피해를 방지 등이다.
지역별 보이스피싱 현황을 분석한 결과, 경기지역이 피해액과 피해건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피해건수 상위지역은 지속적으로 피해가 많이 발생했다. 2018년 기준 보이스시피싱 피해액은 경기도 1천133억 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960억 원), 부산(310억 원) 순이다. 전국 피해액(4천440억 원)의 54.1%가 수도권과 대도시에서 발생했다. 피해건수도 경기(1만8천116건), 서울(1만2천893건), 부산(5천75건) 순서로 발생하는 등 피해액과 유사(전국 평균은 4천389건)했다.
금융당국은 피해 방지 ‘핵심 대응 요령’을 포스터·팜플렛 등으로 만들어 금융회사 창구·홈페이지 및 시·도청 게시판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전파하고, 금융위·금감원·경찰청·금융권 공동으로 전국 주요도시 역사 등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서 피해예방 홍보자료 배포 등 캠페인을 실시할 예정이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