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소상공인 미디어 플랫폼구축 등
‘소상공인 자생력 강화’ 대책 발표
당정은 10일 소상공인의 자생력을 강화하기 위해 ‘1인 소상공인 미디어 플랫폼’을 구축하는 등 온라인 진출 기반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골목상권 전용 상품권을 확대 발행하고 5조 원 규모의 특례보증을 통해 저신용 소상공인의 금융접근성을 높이기로 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는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소상공인 자생력 강화 대책 당정협의’를 열고 이같은 방안을 마련했다고 민주당 조정식 정책위의장(시흥을)이 밝혔다.
조 정책위의장은 “소비·유통트렌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소상공인 온라인 진출을 촉진하기로 했다”며 “온라인 역량과 상품성을 진단해 수준에 따라 맞춤형으로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온라인 활용 역량이 부족한 경우 전담셀러를 매칭해 교육 및 컨설팅을 지원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당정은 소상공인 제품의 해외진출 촉진을 위해 ▲아리랑TV 활용 ▲글로벌 쇼핑몰 입점상담회 개최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즈(MAMA) 등 한류 국제행사와 연계한 우수제품 홍보를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소상공인 사업장에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상점을 보급·확산, 소상공인의 스마트화를 촉진하는 데 노력하기로 했다. 소공인 스마트공장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성장촉진자금도 내년에 1천억 원 규모로 신설된다.
이와 함께 당정은 명문 소공인 지정 제도를 도입해 정책자금 및 R&D 등을 우선 지원하고 백년가게 지정을 확대해 성공모델의 확산을 도모하기로 했다. 지역사랑 상품권과 온누리 상품권은 올해 4조 5천억 원에서 내년 5조 5천억 원으로 1조 원 확대 발행된다.
아울러 신용등급이 낮은 소상공인 사업체 25만 개에 대해서는 특례보증으로 5조 원 규모의 추가 자금을 공급할 계획이다. 조 정책위의장은 “저신용 소상공인을 위한 경영안정자금을 올 하반기에 200억 원을 추가 지원하고 내년에는 500억 원으로 확대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안전망을 강화하고 폐업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도 포함됐다. 조 정책위의장은 “자영업자 실업급여 지급 수준을 기준 보수의 50%에서 60%로 인상하고 지급기간 역시 현행 90~180일을 120~210일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송우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