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최초 발병’ 파주 연다산동 농장 가보니…

살처분 잔존물 처리 밤샘 작업… 확산 차단 총력전
비 동반 태풍에 바이러스 휩쓸릴 우려
파주시 직원들, 악취 속 일일이 수작업

지난 21일 파주시청 직원들이 ASF가 최초 발생한 파주 연다산동의 A농장에서 분뇨 등 잔존물을 직접 처리하고 있다. 파주시제공
지난 21일 파주시청 직원들이 ASF가 최초 발생한 파주 연다산동의 A농장에서 분뇨 등 잔존물을 직접 처리하고 있다. 파주시제공

“최초 발생은 했지만 추가 확산은 무슨 일이 있어도 막아야 합니다”

지난 21일 오후 2시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의 최초 발생지인 파주의 연다산동에 소재한 A농장.

파주시 안전건설교통국 직원들은 온몸을 가린 방제복에다 마스크와 장화을 신고 축사 안에서 시종 구슬땀을 흘리고 있었다. 40여 명의 직원은 마치 먼지 한톨이라도 발생하면 안 되는 반도체회사 공정에서 일하는 직원들 같았다. 이들은 지난 18일 살처분된 A농장에서 2천369두 돼지를 키우던 축사 내부에 남아 있는 분뇨 등 잔존물을 집중 소독한 뒤 처리하고 있었다.

축사 내부는 톱밥, 사료 찌꺼기, 돼지 분뇨가 한데 섞이며 극심한 악취를 내 품고 있었고 길이 30m, 폭 7m에 이르는 축사 동마다 잔존물이 수십 t씩으로 산처럼 쌓여 있었다. 직원들은 축사 내부가 좁아 중장비 동원이 어렵자 이날 삽, 괭이 등 간단한 농기구를 이용해 일일이 수작업을 벌였다. 역겨운 냄새가 코를 찔러 헛구역질이 나는 등 비위가 상했지만 직원들은 물러서지 않았다. 처리된 분뇨는 매뉴얼에 따라 축산분뇨차량에 실려 안전한 곳으로 이동, 모두 소각 처리돼 2차 전파를 차단했다.

방제작업에 참여한 한 직원은 “주말 비를 동반한 태풍 예보로 행여 남은 분뇨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빗물에 휩쓸려 또다른 연쇄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작업에 전념하지 않을 수 없었다”며 “악취 등은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12시간 가까이 분뇨와의 사투를 벌이며 작업을 마친 시간은 다음날인 22일 오전 1시30분. 50여t 분량의 분뇨를 깔끔하게 처리한 직원들은 온몸이 냄새와 땀으로 뒤 범벅이 됐지만 바이러스를 차단했다는 생각에 얼굴은 밝았다.

비슷한 시각,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연다산동 농장의 가족농장으로, 각각 1천51두, 1천505두가 살처분됐던 법원읍 동문리, 파평면 마산리 등 2개 농장 축사에서도 22일 새벽까지 분뇨 등 잔존물 30여 t이 처리됐다.

한편, 지난 20일 적성면, 파평면 2곳 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파주시는 발생 일주일이 지나도록 발생 경로 등을 알 수 없어 최초 발생농장 주변 10km 지역에 통제초소 10개, 거점소독시설 3개 등 70개소의 통제ㆍ검역시설을 설치해 24시간 운영 중이다.

파주=김요섭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