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국 20여곳에 대해 자전거 교통사고 없는 도시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자전거도로 사고위험지역 안전개선 시범사업’을 공모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사업은 범정부 추진사업인 ‘국민생명 지키기 프로젝트’와 연계한 것으로, 2016년 258명이던 자전거 교통사고 사망자를 오는 2022년까지 129명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행안부는 지난 2016년부터 매년 지자체 10~15곳을 선정해 자전거도로 안전개선과 안전시설 확충에 20억~30억원의 재난안전특별교부세를 지원한 바 있다.
이를 통해 2016년 258명이었던 자전거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2018년말 기준 209명으로 49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행안부는 올해 지원 예산을 50억 원으로 늘리고 지자체 선정 규모도 25개 내외로 확대할 방침이다. 지자체 선정 규모와 지원 예산은 역대 가장 많다.
행안부는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 분석시스템(TASS)과 지난해 지자체 48곳을 대상으로 시행한 ‘자전거 교통사고 위험지역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해 사고예방 효과가 큰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할 방침이다.
또, 도로교통공단, 한국교통연구원 등 교통안전 전문기관의 협조를 통해 선정 지자체의 계획 수립과 사업 추진을 자문하고 지원한다.
이밖에도 자전거도로 사고위험지역 안전개선 사업 성과를 분석하고 우수사례를 발굴, 지자체에 공유하고 확산할 예정이다. 선정 지자체에게는 도로교통공단과 한국교통연구원 등 교통안전 전문기관의 협조를 얻어 자문 지원도 한다.
조봉업 지역발전정책관은 “이 사업은 자전거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사망자를 줄이는데 기여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전국 자전거도로 사고위험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안전한 자전거 이용 문화가 확산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