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대 길병원이 국내 최초 의료인공지능(AI) 시스템을 도입한데 이어, 의료 AI와 빅데이터 분야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융합 정보를 접목한다.
길병원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술활용을 지휘하는 전담 조직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융합(G-Ai&Bigdat Convergence, G-ABC)센터’를 만들어 연구 역량 강화 및 국내 중심 연구 허브센터로 활용한다고 24일 밝혔다.
G-ABC센터는 EMR, OCS, PACS 등 의료기관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의료 디지털 데이터뿐 아니라 유전체 분석 기술 발전에 따른 유전자 정보,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에서 개방하는 공공빅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R&D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특히 이들 기관에서 생성한 디지털 빅데이터는 양과 질, 분야가 방대하다. 임상 및 진료 분야 뿐 아니라 건강검진, 병원경영분야, 타 의료기관 의료 빅데이터 등의 영역에서 방대한 데이터가 생성하고 있는데, G-ABC센터는 이를 수집, 저장, 통합, 분석, 예측하는데 활용하게 된다.
또 빅데이터뿐 아니라 또 관련 법률 및 제도 등도 의료IT 기술만큼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 G-ABC센터는 방대하고 복잡한 연구 능력을 포괄적으로 조율하고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길병원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빠르게 변화하는 의료IT 및 의료AI 분야에 앞장서 대응하고 있다. 지난 2016년 길병원은 국내 최초로 IBM사의 인공지능 ‘왓슨 포 온콜로지’를 도입한데 이어 올해 ‘왓슨 포 지노믹스’를 추가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미국을 제외한 IBM사의 유일한 글로벌 파트너 의료기관으로 선정돼 ‘왓슨 포 온콜로지’의 한국 현지화 연구를 진행하며 관련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길병원은 G-ABC센터를 통해 연구 역량의 지속가능한 성장동력을 제공하겠다는 각오다.
김양우 병원장은 “G-ABC센터는 향후 집중적인 연구 역량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해 국내 의료AI 및 빅데이터 분야 연구 허브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