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G-FAIR 두바이’ 개막] 道內 60개 중소기업 참가… 중동의 관문 ‘수출 교두보’

전기·전자·생활용품·소비재·미용·건강 제품 ‘틈새시장’ 공략
사전 매칭 바이어와 1대 1 현장상담… 계약 성공률 높이기

‘2019 G-FAIR 두바이’가 24일 두바이 크라운 플라자 데이라 호텔에서 열린 가운데 안성국 경기도 국제관계대사, 김기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 두바이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규태기자
‘2019 G-FAIR 두바이’가 24일 두바이 크라운 플라자 데이라 호텔에서 열린 가운데 안성국 경기도 국제관계대사, 김기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 두바이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김규태기자

‘탈 석유화’를 선언하며 중동과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와의 중계무역을 통한 새로운 경제 비전을 내세운 UAE에서 경기도 내 유망중소기업들의 틈새시장 공략이 시작됐다.

도내 중소기업들의 중동 시장 진출 교두보가 될 ‘2019 G-FAIR(경기우수상품 해외전시회) 두바이’가 24일(현지시간) 막을 올렸다.

이날 오전 중동의 금융·물류·경제 허브인 두바이 크라운 플라자 데이라 호텔에서 열린 개막식은 안성국 경기도 국제관계대사, 전영욱 두바이 총영사, 김기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 등 국내 관계자와 아흐마드 알 하다드 두바이 항만공사 사장, 나심 모하메드 라피 두바이 시 보건안전국장, 모하메드 알리 알 자나히 아즈만 상공회의소 전무이사 등 현지 관계자를 포함해 총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G-FAIR 두바이’는 중동 지역에서 열리는 경기도 최대의 수출판로 개척행사로, 지난해에는 4천200만 달러의 계약 추진성과를 기록하는 등 도내 중소기업의 중동지역 진출을 위한 ‘중동특화 글로벌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써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올해 참가 기업은 총 60개사로, 전기·전자, 생활용품·소비재, 미용·건강 품목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이들 업체는 사전 매칭을 통해 선정된 바이어와의 1대 1 상담을 진행하는 한편 전시회에 방문하는 바이어들과의 현장 상담 등을 통해 수출계약 성공률을 높일 예정이다.

도와 경과원은 개막식에 앞서 23일 ‘두바이 및 북부 에미레이트 시장동향설명회’를 열어 참가기업들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현지시장 최신동향과 진출 전략을 설명하는 등 도내 기업의 중동시장 판로개척을 위한 예열을 마쳤다. 또 경과원은 아부다비, 두바이에 이어 UAE의 세 번째로 큰 도시인 사자 시 상공회의소와 MOU를 체결하는 등 UAE에서의 광폭 행보를 이어갔다.

특히 경과원은 이날 개막식의 부대행사로 K-POP 공연을 마련, 신흥 한류 중심지로 떠오른 중동지역 방문객들의 호감도를 높이는 자리를 마련하기도 했다.

안성국 경기도 국제관계대사는 “이번 G-FAIR 두바이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는 가운데 도내 기업들의 수출 다변화의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기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장은 “두바이는 중동·북아프리카 시장으로 진출하는 최대의 관문”이라며 “중동시장의 진출을 원하는 도내 기업들의 판로개척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G-FAIR가 열리는 두바이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를 연결하는 명실상부한 금융과 물류의 허브이자 중동 경제의 중심으로 GCC(Gulf Cooperation Council, 걸프협력회의) 및 MENA(Middle East & North Africa, 중동·북아프리카) 지역까지 비즈니스가 매우 활발한 지역이다. 특히 최근 중동지역 국가들에서는 석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ICT, 보건의료, 스마트시티 등 신성장 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수요가 늘고 있으며, 내년에 개최되는 ‘2020 두바이 엑스포’로 인한 인프라 구축 관련 수요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는 주요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두바이=김규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