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 강화식 구조대 공간 좁아 역할 의문
비상구 앞 대걸레 등 각종 청소도구 즐비
인천소방본부 인력 부족 ‘점검 사각지대’
김포 요양병원 화재로 2명이 사망하고 40명이 다치는 참사가 났지만, 인천지역 요양병원들의 안전불감증은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요양병원에 대한 소방안전점검을 해야할 인천소방본부 역시 여력이 없다는 이유로 소방안전점검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6일 오전 11께 미추홀구의 A 요양병원.
지하2층 지상 8층 규모인 이 요양병원은 3층부터 화재 시 대피에 쓰는 경사 강화식 구조대를 설치했지만, 공간이 좁아 구조대를 펼치기 조차 어려웠다.
남동구 B요양병원도 사정이 심각했다.
시설 곳곳에 ‘물건 적치 금지, 이곳은 화재시 대피하는 공간입니다’라는 화재 예방 스티커가 무색하게 대걸레부터 각종 청소 도구들이 비상구를 가로 막고 있었다.
또 ‘방화문. 닫아두시오’라는 스티커가 붙어있는 방화문은 고정된 채 열려 있었다.
앞선 25일 오후 인천 서구의 한 요양병원에 들어서자 엘리베이터에 붙은 ‘화재시 엘리베이터 이용 금지’ 문구가 눈에 띄었다.
이 병원은 2~7층이 입원실로 층마다 7개 정도의 병실이 있고, 병실당 평균 4~5명의 환자가 있다.
이 곳은 경사로로 된 별도의 비상구가 있지만, 환자 수가 많고 대부분 거동이 불편해 신속한 대피가 어려운 상황이다.
또 1층에서 외부로 빠져나오는 비상구 쪽은 침대 1개가 지나가기에도 좁고, 가파른 경사로 형식이라 비상구 기능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
이처럼 요양병원의 안전불감증이 극에 달한데에는 소방당국의 허술한 점검 시스템도 한 몫 했다.
2014년 전남 장성에서 21명이 사망한 요양병원 화재가 난 후 요양병원은 화재 취약 시설로 분류됐지만, 인천소방본부는 5~6년에 1번꼴로 전수점검을 하는데 급급한 실정이다.
게다가 안전점검 항목 역시 수신반이나 비상구 등 필수시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점검자의 재량에 따르고 있어 허술하다. 점검자의 꼼꼼함 차이에 따라 이용자들의 생명이 오가는 상황이 되기 때문이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정확한 데이터는 확인을 해봐야 하지만 연1회 전수조사를 하는 건 현실적으로 힘들다”며 “법적으로나 지침상으로도 얼마에 1번씩 전수조사를 하라고 정해진 건 없다”고 말했다.
김경희·김승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