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열병’ 발병 10일째
4곳 동일한 사료·축산차량 등 정보 공유 수시로 왕래
市 “방역당국, 다양한 가능성 열어두고 조사 강화해야”
인천 강화군과 경기 파주시·연천군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진 판정을 받은 돼지농장 4곳이 같은 전국단위의 양돈조합 소속인 것으로 드러났다. 강화에서 해당 양돈조합 소속 농장은 ASF 확진 판정이 나온 농장 2곳을 포함한 총 13곳이다. 더욱이 이들 농장은 같은 사료 및 축산차량 등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나 해당 양돈조합을 기준으로 하는 방역 당국의 역학조사가 시급하다.
26일 농림축산식품부 등에 따르면 강화 내 전체 농장 35곳 중 송해면 1곳, 불은면 6곳, 선원면 1곳, 화도면 1곳, 내가면 1면, 하점면 2곳, 양사면 1곳 등 13곳의 농장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하는 전국단위 A양돈조합에 가입하고 있다.
이들 농장에서 사육 중인 돼지는 ASF 확진 판정에 따른 살처분 조치를 하기 전 기준으로 1만2천300마리다. 이는 강화 내 전체 돼지의 32.4%에 이른다. 이들 농장을 기준으로 ASF 확진 판정 시 살처분 범위인 반경 3㎞를 분석하면, 양도면과 길상면을 제외한 강화 전역의 농장이 모두 포함된다.
특히 이들 농장 중에는 이미 ASF 확진 판정을 받은 송해면 B농장과 불은면 C농장도 있다. B농장은 지난 24일 ASF 확진 판정을 받고 사육하던 돼지 388마리를 살처분했다. B농장으로부터 살처분 범위 내 다른 농장은 없다. 이후 25일 ASF 확진 판정을 받은 C농장에서는 살처분 범위 내 다른 농장 3곳의 돼지를 포함해 8천350마리를 살처분했다. 심지어 강화보다 앞서 ASF 확진 판정을 받은 경기도 파주의 D농장과 양천의 E농장도 A양돈조합 소속이다.
A양돈조합에 가입한 이들 농장은 그동안 조합에서 공급하는 동일한 사료를 이용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들 농장은 동일한 분뇨처리 차량, 돼지출하 차량, 도축장 차량을 이용했다. 농장주들 역시 같은 조합원으로서 정보 공유 등을 위해 수시로 왕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ASF 관련 해외 사례 중에는 제대로 소독하지 않은 축산차량이 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연구가 있다. 이들 농장에서 동일한 축산차량을 이용한 것이 ASF 확산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더욱이 사육하는 돼지와 직접 접촉이 가능한 사료와 사람 역시 ASF를 퍼뜨릴 수 있다.
현재까지 ASF 확산 원인을 찾지 못한 상황에서 방역당국이 A양돈조합을 역학조사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 이유다. A양돈조합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해 사료 공급 등을 경기 북부와 남부로 나눠 추진하는 방안 등을 내부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인천시 관계자는 “A양돈조합과 관련한 사안 등을 파악해 농식품부 등 방역당국에 전달한 상태”라며 “더는 ASF가 확산하지 않도록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방역과 역학조사를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한편, 이날 삼산면의 D농장에서는 폐업 이후 키우던 돼지 2마리에서 ASF 확진 판정이 나왔고, 강화읍의 E농장에서도 ASF 의심 신고가 접수돼 정밀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한의동·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