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세 5조·세외수입 1조 달성
지역업체와 계약수주 확대 등
정부지원금 안정적 확보 나서
인천시가 오는 2030년까지 시의 채무비율을 10%대로 유지한다.
시는 26일 송도 트라이볼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인천 2030 미래이음 재정분야 발표회’를 열었다. 발표회에는 시민, 주민참여예산위원, 전문가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발표회에서 홍준호 시 재정기획관은 10년간의 재정운영 방침인 ‘5대 추진전략, 12개 주요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5대 추진과제에는 부채리스크 관리, 자주재원 확충, 정부지원금 안정적 확보, 재정혁신과 사회 가치 제고, 시민과 함께하는 재정운영 등이다.
부채관리 리스크 측면에서 시는 본청 채무비율을 10%로 유지하고, 잠재적 재정부담은 75%를 해결한다. 또 인천도시공사 부치도 1조원 감축한다. 또 시는 자주재원을 확충하고자 매년 지방세 5조원대와 세외수입 1조원대를 달성하고 전국 1위 조세정의 실천 도시로 탈바꿈한다.
정부지원금 안정적 확보 차원에서 시는 국고보조금과 보통교부세를 각각 5조원대, 1조원대까지 확대한다. 재정혁신과 사회 가치 제고를 위해서 시는 시의 재정혁신을 추진하고 사회적 가치를 증대하고자 지역업체와 배려대상기업의 공사 및 계약 수주율을 높인다.
시는 시민과 함께하는 재정운영 도시를 만들고자 주민참여예산을 지속 확대하고 온·오프라인 소통창구를 확대해 시미노가 함께 건전한 재정 운영을 추진한다.
앞서 시는 민선 7기 들어 3조815억원의 국비를 확보했다. 이는 시가 확보한 국비 중 사상 최대다. 보통교부세도 2018년보다 599억월을 증액한 5천960억원을 확보했다. 이 밖에도 1조2천220억원 규모의 리스·렌터 사업체를 유치하고 도시공사의 부채 1천억원과 잠재적 채무 1천287억원을 해결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그동안 시가 겪었던 부채와 리스크를 적정 수준에서 관리하면서 시민의 의견에 귀 기울여, 건전한 재정운영을 하겠다”며 “이를 기반으로 예산을 인천의 미래 먹거리에 투자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