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조국 국조 후” vs 與 “별도 사안 아냐” 의원자녀 입시 전수조사 합의 불발

여야가 국회의원 자녀 입시 문제에 대한 전수조사 실시에 뜻을 함께 했지만, 구체적인 시기·방법에는 의견차를 드러내면서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인영·자유한국당 나경원·바른미래당 오신환 원내대표는 30일 오전 국회에서 문희상 국회의장(의정부갑) 주재로 회동을 갖고, 의원 자녀 입시 전수조사와 관련한 세부 사안 등을 논의했다.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조국 법무부 장관과 그 가족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등이 마무리된 뒤 전수조사를 하자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별도로 다룰 사안이 아니라며 난색을 표했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배석했던 민주당 정춘숙 원내대변인은 비공개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국회의원 자녀들에 대한 전수조사에 대해 야당은 시기적으로 조 장관에 대한 국정조사를 한 다음에 하자고 했고, (민주당은) 따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냐고 했는데 합의가 안됐다”고 설명했다.

나 원내대표는 “시기적으로 조국 사태가 정리된 이후에 (전수조사를) 하는 게 맞다”며 “조국 사태에 관한 국정조사를 하루빨리해야 한다. 국정조사를 통해 국민들 의혹을 명명백백하게 풀고 앞으로 전수조사 등도 적극적으로 논의하면 된다”고 말했다.

오 원내대표도 “조국 국정조사는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국정조사 논의를 하고 그 이후 필요하다면 의원 등 고위공직자의 자녀 문제를 포함한 조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야당 원내대표들은 장기 공석 중인 특별감찰관 문제를 놓고, 민주당에 조속한 특별감찰관 후보 추천을 요구하기도 했다.

정 원내대변인은 “민주당이 제안한 후보군을 야당이 검토한 후 3인을 추천하자고 합의가 됐는데 지난해 4월에 바른미래당이 야당 추천방식으로 바꾸자고 얘기해 합의가 안됐다”고 주장한 반면, 나 원내대표는 “특별감찰관을 3년 동안 공석으로 놔뒀는데, 하루빨리 특별감찰관을 임명해서 ‘제2조국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미묘한 신경전을 펼쳤다.

한편 앞서 문 의장은 여야 원내대표 회동 모두발언에서 “지금 세계를 보고 전진하는 시기에 우리 정치가 우물 안 개구리가 돼 정파적 싸움에 여념이 없어서는 안 된다”며 “지금처럼 놓아두면 정치권은 직무유기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민수 국회 대변인이 전했다.

문 의장은 이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와 검경 수사권 조정은 모든 정당이 약속한 사안”이라면서 “검찰개혁은 법률 제정이 핵심이다. 국회가 여야 협치를 통해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우일·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