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3일은 국경일인 개천절이다. 개철절은 기원전 2333년, 단군이 단군조선(고조선)을 건국한 것을 기념하는 뜻으로 제정됐다.
개천절에서 '개천(開天)'은 하늘의 신, 환인의 아들 환웅이 처음으로 하늘을 열고 태백산(백두선)의 신단수 아래에 내려와 신시를 열어 홍익인간(弘益人間)의 뜻을 펼치기 시작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당초 1919년 음력 10월 3일을 개천절 국경일로 정하고 축하행사를 열기도 했다. 하지만 1949년 문교부는 고조선 건국 당시의 음력 10월 3일을 현대 날짜로 환산하기 불가능 하다는 이유와 10월 3일이라는 날짜 자체가 소중하다는 의견에 따라 양력으로 변경했다.
개천절은 과거 일제로부터 탄압받던 당시 우리나라의 자주성을 되찾고, 민족의신을 높에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역사적 의미가 남다른 만큼 태국기 역시 광복절, 제헌절 등과 마찬가지로 깃봉과 깃면 사이를 떼지 않고 위에 달아야 한다.
태극기 계양시간은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단독(공동) 주택의 경우 태극기를 대문의 중앙이나 왼쪽에 달고 다세대 주택이나 아파트인 경우에는 베란다의 중앙 또는 왼쪽에 단다. 차량의 경우에는 전면에서 볼 때 왼쪽에 게양한다.
장영준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