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정재호 의원, “미취학아동 보유주식 921억 원, 배당만 10억여원”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정재호 의원(고양을)은 한국예탁결제원으로부터 제출받은 ‘미성년자(만 0세~18세) 보유 상장회사 주식 및 배당금 현황(2018년 12월말 결산기준)’에서 미성년자 주주들은 786개 상장회사에 대한 주식 6천309만여 주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은 2018년 말 기준으로 총 평가액은 약 5천760억 원, 이에 따른 배당액은 68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평가액을 기준으로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미취학아동인 만 0세에서 6세가 921억 원, 초등학생인 만 7세에서 12세가 1천766억 원, 중고등학생인 만 13세에서 18세가 3천72억 원이었으며, 배당금은 각각 9억 5천 만원, 21억 1천만 원, 37억 2천만 원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중 배당금만으로 1억 이상을 수취한 미성년자는 4명으로 만 14세 주주와 만 15세 주주 2명이 시가 3만9천950원의 유가증권 ‘예스코홀딩스’ 보통주를 각각 7만5천310개씩 소유해 배당금을 약 1억 1천300만원씩 수령했다. 만 16세 주주 1인은 코스닥시장에서 시가 5천700원의 ‘에이피티씨’ 보통주를 52만 5천개 소유해 1억 500만원의 배당을, 만 17세 주주 1인은 시가 26만 원의 ‘SK’ 보통주를 6만6천666개 소유해 배당금 2억 6천700만 원 가량을 챙겼다.

미성년자 배당액이 가장 높은 회사는 삼성전자로 이 회사의 미성년자 주주들은 한 해 약 7억 원(6억 9천250만 원) 가까이 배당을 받았다. 이어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 약 4억 9천500만 원, SK 3억 4천200만 원, 예스코홀딩스 2억 4천300만 원, 삼성물산(구.제일모직) 2억 3천500만원 순으로 높은 배당액을 기록했다.

미성년자 보유주식 중 평가액이 가장 큰 종목은 삼성전자(소유주식수 합계 195만 여 개)로 757억에 달했다. 태어나자마자 주식을 보유한 만0세 주주들이 가진 주식 중 평가금액이 제일 큰 종목 역시 삼성전자로 281명의 만0세 주주들이 1만 8천여 개를 소유해 평가금액이 7억 원 가량 됐다.

심지어 만0세 주주의 총 보유주식수는 12만여개로 평가액은 20억여원을 상회했다.

미성년자들이 보유한 주식이 총 발행주식수의 5%가 넘는 경우도 꽤 많았다. 서울제약의 경우 총 발행주식 848만 개 중 약 12%에 달하는 101만 개를, 보광산업의 경우 총 발행주식 3천447만 개 중 약 8%에 달하는 271만개를 미성년자들이 보유하고 있었다.

정재호 의원은 “미취학아동이 보유한 주식이 920억이 넘는 등 주식을 통한 부의 세습이 어마어마하다”며, “상속과 증여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정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양=유제원ㆍ송주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