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첫 잠복기 지났다…2차 전파 차단 총력

"아직도 위중한 상황, 경기북부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방역 집중"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지역에서 방역당국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는 모습. 경기일보DB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지역에서 방역당국이 출입을 통제하고 있는 모습. 경기일보DB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지난 3일 파주와 김포 이후 5일간 추가 확진 사례가 나오지 않으면서 방역 당국이 국내 기 발생 농가로부터의 2차 전파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8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파주에서 처음 확진된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잠복기는 통상 4∼19일이다. 아무리 길게 잡는다고 해도 첫 발생 농가를 덮친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이미 지난 셈이다.

따라서 앞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추가로 발생한다면 파주 1차 발병을 일으킨 바로 그 바이러스가 아닌 다른 원인 때문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2∼13차 발생 농가의 바이러스가 또 다른 농가로 번진 2차 전파나, 아예 외부에서 새로 유입됐을 가능성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농식품부는 이 가운데 이미 발생한 농가로부터의 전파 가능성을 신경 쓰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경기 북부에 한정해서 발생하고 있고, 방역적으로 통제되고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지역 내) 수평 전파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멧돼지나 DMZ에서도 바이러스가 발견됐는데, 국내 발병 바이러스가 멧돼지 쪽으로 옮겨갈 우려를 차단하기 위해 우리도 멧돼지 관리를 하고 있다"며 "현재는 국내에서 확산하지 않고, 통제 지역에 묶어놓는 데 집중해서 방역 관리를 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쉽게 말해 아프리카돼지열병을 중점관리지역, 특히 이미 발생한 경기 북부 지역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묶어놓는 데 방역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경기·인천·강원 중점관리지역에서 소독 차량 303대를 동원해 양돈 농가와 주요 도로를 소독했다.

또 경기 북부 10개 시·군 축산차량 이동 통제를 이어가 권역을 넘어간 3대를 적발했다.

방역 당국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13개 농장과 역학 관계가 있거나, 3㎞ 이내 방역대에 있는 농장 599곳에 대해 정밀검사를 벌여 모두 음성 결과를 받았다.

또 발생지 10㎞ 이내 방역대 농장과 역학 관련 농장 1천671곳에 대해 매일 전화 예찰을 벌이고 있다.

방역 당국은 정밀검사와 예찰 과정에서 특이점을 발견하지 못했지만,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아직도 위중한 상황으로 보고 방역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파주·김포·연천에서 수매와 예방적 살처분 조치가 진행되고 있고, 전체적으로 평가를 해 종식 상황을 진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