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임금개선 믿었는데…” 17일부터 ‘총파업’ 배수진

정부·교육청 불성실 교섭태도 반발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8일 인천시교육청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비정규직에 대한 처우개선·정규직화 등을 촉구하고 있다.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제공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8일 인천시교육청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교 비정규직에 대한 처우개선·정규직화 등을 촉구하고 있다.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제공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교육부와 도성훈 인천시교육감에게 학교 비정규직 처우개선·정규직화 등을 요구하며 총파업을 예고했다.

인천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8일 인천시교육청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7월 총파업 후 교육 당국이 성실한 교섭을 통한 학교 비정규직의 임금 개선 등을 약속했지만 변화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무기한 단식과 노숙이라는 절박한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외침을 정부와 교육청이 끝내 외면하고 있다”며 “계속해 불성실한 교섭태도를 보여 교섭이 결렬하면 오는 17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연대회의는 지난 4월 기본급·근속수당·명절휴가비·정기상여금 등을 의제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에 임금협상을 요구했다.

연대회의와 교육부 등은 7월까지 절차 협의를 포함해 10차례 실무교섭을 했지만 끝내 의견차이를 좁히지 못했다.

이후 연대회의는 기본급 6.24% 인상, 정규직과 차별 해소 등을 요구하며 7월 3~5일 총파업을 벌였다.

총파업 직후 교섭에서 교육부 등은 기본급 1.8% 인상안을 제시했고 연대회의는 사실상 동결안이라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8월 들어 실무교섭을 재개했지만 여전히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연대회의 관계자는 “교육당국이 학교 비정규직 중 별도 보수체계를 적용받아 2·3중의 차별과 소외를 겪고 있는 노동자들에 대해서도 사실상 임금 동결안을 고집했다”며 “정부의 공정임금제와 차별 해소, 7월 총파업 때의 성실 교섭 약속도 사라졌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7월 3일 인천학교비정규직 총파업에는 조리실무사와 돌봄전담사 등 1천254명이 파업에 참여했다.

이로 인해 공립학교 482곳 중 143곳이 대체급식을 제공하고, 초등돌봄교실 245곳 중 11곳이 부분운영을 하거나 아예 문을 열지 않는 등 운영에 차질을 빚었다.

주재홍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