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19개 시·군-도시공사 MOU
이화순 부지사 “교통복지 확대”
경기도가 ‘경기교통본부’를 정식 출범했다. 교통본부는 내년 ‘경기교통공사’ 설립을 준비하면서 경기도형 준공영제 등 신규 교통 정책의 디딤돌 역할을 맡게 된다.
경기도는 10일 경기도시공사 북부본부(의정부시)에서 교통본부 개소식을 열었다. 경기교통공사는 도내 31개 시ㆍ군의 대중교통 체계를 통합 관리하는 교통정책 전담기관이다. 현재 설립 타당성 검토 용역이 진행 중이며 용역이 완료되면 내년 행정안전부와 협의를 거쳐 개소할 예정이다. 교통공사는 31개 시ㆍ군의 버스ㆍ철도를 비롯한 교통수단의 통합관리, 노선입찰제 방식의 버스 준공영제 운영ㆍ관리, 광역교통시설(환승주차장) 확충, 신 교통수단(수요응답형 버스) 운영 등을 맡는다.
이와 관련, 교통본부는 교통공사 운영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 교통공사 설립 전까지 운영하는 기구다. 교통공사 설립 준비, 공사 수행사업 설계, 준공영제 시범사업 시행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경기도시공사의 1개 본부로 운영되며 1본부 2팀 9명으로 구성된다.
도는 교통본부 개소식과 함께 내년 노선입찰제 준공영제에 참여하는 19개 시ㆍ군, 경기도시공사와 ‘경기도형 준공영제(노선입찰제) 시행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노선입찰제 준공영제는 영구면허로 운영하는 수입금 공동관리 형태의 현재 준공영제와 달리 버스 노선을 공공이 소유하고 경쟁입찰을 통해 선정된 운송사업자에게 한정면허를 부여해 버스 운영을 위탁하는 제도다.
도는 최초 5년에 갱신 4년 등 최대 9년까지 계약을 한 뒤 재입찰을 원칙으로 한정면허를 부여할 방침이다. 도는 이달 중에 광역버스(직행좌석형 시내버스) 16개 노선에 대한 입찰공고를 해 준공영제 시범사업에 참여할 운송사업자를 모집, 내년부터 시범사업을 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이화순 행정2부지사는 “경기교통본부 개소를 시작으로 노선입찰제 준공영제의 성공적 시행 등 교통분야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교통공사 설립을 차질 없이 추진해 모든 도민들이 교통복지를 충실히 누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형 준공영제 대상인 16개 노선은 비수익반납ㆍ폐선 4개(덕정차고지~범계역, 단국대~여의도, 호수마을~당산역, 송내역~KTX광명역), 소외지역 배려 3개(이천역~잠실역, 신탄리역~도봉산역, 용문터미널~강변역), 택지개발지구 9개(광주터미널~삼성역, 갈매역~잠실역, 덕정역~상봉역, 시외버스터미널~잠실역, 동탄2~잠실역, 장안마을~양재역, 매수리마을~당산역, 능곡차고지~사당역, 운정신도시~홍대입구역) 등이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