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 하루만에 ‘완충지서 제외’
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고자 설정한 완충지 내에서 ASF 확진 농가가 발생, 이미 ASF가 발생한 농가로부터 바이러스가 2차 전염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0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 9일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확진된 14차 연천 신서면 농가는 정부가 고양·포천·양주·동두천·철원과 함께 설정된 완충 지역 내에 자리하고 있다. 특히 이번 14차 발생 농가와 가장 가까운 기 발생 농가는 지난달 18일 확진된 연천 2차 농가인데, 25.8㎞나 떨어져 있으며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잠복기가 4∼19일인 점을 고려하면 2차 발생 농가를 덮친 바이러스의 잠복기도 지난 시점이다.
이에 이번 확진 농가는 그 이후 발병한 농가로부터 모종의 경로를 타고 감염됐거나, 북한으로부터 멧돼지 등 새로운 바이러스 남하가 이뤄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농식품부는 “이전에 파주 등 다른 사례를 봤을 때 연천 두 번째 건도 그런(수평 전파) 경우가 아니냐고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잠복기란 바이러스가 가축 몸에 들어와 증상을 나타내는 기간으로, 야외에서는 훨씬 더 오래 살 수 있다”며 “지난달 발생한 연천 건의 잠복기는 지났지만, 거기서 나온 바이러스가 야외에 있다면 생존해 있을 수 있다. 바이러스는 이후 언제든 다시 또 가축에 들어가 발생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또 멧돼지 남하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공교롭게도 접경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북한의 멧돼지에 의한 가능성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 중”이라며 “단정적으로 북한 멧돼지 가능성이 크다고 말하기는 어렵다”고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했다.
농식품부는 이날 하루 만에 완충 지역에서 연천을 뺀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18일에 이어 관내 두 곳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하면서 완충 지역으로서의 의미가 퇴색됐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단호한 방역’을 위해 지난달 이미 돼지열병이 발생했던 연천은 처음부터 완충 지역이 아닌 전역을 수매·살처분 대상 지역으로 삼았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ASF 확산 방지를 위해 살처분한 돼지를 농장에서 3㎞ 떨어진 논에 매몰하려다가 주민 반발로 실행하지 못했던 김포 한 양돈농장은 이날 가까스로 매몰 자리를 찾아 돼지 4천마리를 매몰했다.
이호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