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왕숙·하남 교산 등 5곳, 3기 신도시 개발 본격화

'여의도 8배' 공공주택지구 지정, 12만2천가구 2021년부터 공급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지구가 공공주택지구로 지정, 15일 고시예정됐다. 13일 오후 사릉역 일원에서 바라본 GTX-B 노선을 중심으로 도시첨단산단, 창업지원센터 등이 계획된 남양주 왕숙 1지구. 윤원규기자
3기 신도시 남양주 왕숙지구가 공공주택지구로 지정, 15일 고시예정됐다. 13일 오후 사릉역 일원에서 바라본 GTX-B 노선을 중심으로 도시첨단산단, 창업지원센터 등이 계획된 남양주 왕숙 1지구. 윤원규기자

 

3기 신도시 입지 중 남양주 왕숙ㆍ하남 교산 등 5곳이 우선 공공주택지구로 최종 지정, 오는 2021년 말부터 주택 공급에 들어간다.

국토교통부는 13일 주민 공청회, 전략환경영향평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오는 15일 자로 남양주 왕숙ㆍ왕숙2ㆍ하남 교산ㆍ인천 계양ㆍ과천의 2천273만㎡(여의도 290만㎡의 약 7.8배)를 공공주택지구로 지정ㆍ고시한다고 밝혔다.

이들 5곳은 국토부가 지난해 12월 19일 부동산 안정 대책의 하나로 발표한 3기 신도시 조성 예정 지역으로, 계획상 총 12만 2천가구를 지을 수 있다. 지구 지정이 마무리됨에 따라 앞으로 해당 지역은 2020년 하반기 지구계획 승인, 2021년 착공을 거쳐 2021년 말부터 ‘첫 마을 시범사업’ 등을 통해 주택 공급에 들어가게 된다.

특히 이들 3기 신도시들은 ▲전체 면적 3분의 1을 공원ㆍ녹지로 확보한 친환경 도시 ▲가처분 면적 3분의 1을 자족 용지로 조성하는 일자리 도시 ▲전체 사업비 20%이상을 교통 대책에 투자하는 교통도시 등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특히 5곳의 지구 지정으로, 정부의 ‘수도권 30만가구 공급계획’ 가운데 14만가구를 공급할 공공주택지구가 마련됐다. 성남 신촌, 의왕 청계 등 6곳(1만 8천가구 규모)의 경우 이미 지구 지정이 끝나 내년 지구계획, 보상 등을 거쳐 2021년부터 주택 공급이 시작된다.

부천 역곡(5천 500가구), 성남 낙생(3천가구), 안양 매곡(900가구) 등 3곳은 연내 지구지정 완료를 목표로 절차를 밟고 있다.

가장 최근인 올해 6월 발표된 입지 고양 창릉, 부천 대장(2개 지역 11만가구)의 경우 재해 영향성 검토 단계에 있다. 주민 공청회,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을 거쳐 내년 상반기께 순차적으로 지구 지정이 이뤄진다.

아울러 ‘수도권 30만가구 공급계획’ 중 약 4만가구(서울시 3만 2천400가구ㆍLH 7천100가구)는 서울에서 공급된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현재 30만가구 전체 사업 추진 실적을 월 단위로 점검하고 있으며, 경기ㆍ인천ㆍ서울 등 관련 지방자치단체들도 사업 점검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도권 30만가구 계획 중 절반 정도가 지구지정을 마쳐 사업이 본 궤도에 들어섰다”면서 “지구계획 수립 과정에서 전문가, 지자체, 주민 의견을 최대한 수렴하고, 원주민들도 최대한 정당한 보상을 받고 다시 정착할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