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2030년까지 미래차 경쟁력 세계 1위로”

현대차 화성 남양연구소 방문
전기·수소차 판매비중 33%↑
2027년 완전자율주행 상용화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산업 국가비전 선포식에 입장하며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오후 화성시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산업 국가비전 선포식에 입장하며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인사를 나누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전기차·수소차의 신차 판매 비중을 2030년 33%, 세계 1위 수준으로 늘리고, 세계 시장점유율 10%를 달성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화성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에서 열린 ‘미래차산업 국가비전 선포식’에 참석 “자동차 제조사에 대한 친환경차 보급목표제를 시행하고, 소형차량, 버스, 택시, 트럭 등 물류수단과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내수시장을 확대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우리의 목표는 2030년까지 미래차 경쟁력 1등 국가가 되는 것”이라면서 “우리는 미래차에서 ‘세계 최초’ ‘세계 최고’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수요 확대에 맞춰, 2025년까지 전기차 급속충전기 1만5천기를 설치하고 2030년까지 총 660기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해 ‘어디에서나 20분 안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의지를 표명했다.

문 대통령은 “미래차는 미세먼지와 온실가스를 줄이는 친환경차이며 특히 수소차는 ‘달리는 공기청정기’”라며 “미래차 신차 판매율 33%가 달성되면, 온실가스 36%, 미세먼지 11%를 감축하는 효과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그동안 자율주행 정책은 특정 구간에서만 자율주행이 가능하고 운전자가 운행에 관여하는 레벨 3이 중심이었지만, 주요 도로에서 운전자의 관여 없이 자동차 스스로 운행하는 완전자율주행 상용화로 목표를 높였다”며 “목표 시기도 2030년에서 2027년, 3년 앞당겨 실현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율주행 서비스 시장은 경제 활력을 살리고,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 황금시장”이라며 “규제샌드박스, 규제자유특구를 통해 규제 완화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미래차 산업을 이끌어갈 혁신하고 상생하는 생태계를 만들겠다”면서 “우리 기업들은 미래차 분야에 앞으로 10년간 60조원을 투자하여 세계를 선도할 핵심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도 미래차 부품·소재 기술개발과 실증에 2조2천억원을 투자하여 기업의 혁신을 뒷받침하겠다”며 “수소차, 자율차의 기술개발 성과를 국제표준으로 제안하여 우리 기술이 세계 표준이 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특히 “업종 간 융합을 통한 혁신이 미래차 경쟁력의 핵심”이라며 “미래차에 필요한 여러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자동차, 반도체, IT, 인공지능, 서비스 등 서로 다른 업종과, 대·중소기업이 협력하는 개방형 생태계를 만들어 우리 실력과 기술로 미래차 산업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