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하 署 10곳중 직장어린이집 ‘0곳’
부지 확보 등 구체적 대책마련 주문
체감안전도 바닥권… ‘개선안’ 촉구
행정안전위원회가 15일 연 인천지방경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10개 경찰서 중 직장 어린이집이 단 1곳도 없는 것(본보 8월 26일자 7면 보도)에 대한 대책 마련과, 체감안전도 문제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날 정인화 의원(무·전남 광약시 곡성·구례군)과 김영우 의원(한·경기 포천시가평군)은 “인천경찰청 산하 경찰서가 10곳인데 직장어린이집이 1곳도 없고 민간투자사업(BTL)으로 설치하는 곳도 연수서와 서부서, 미추홀서 3곳 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직장내 보육시설을 갖추는게 대세이고, 열심히 일하는 분위기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인 만큼 앞으로 부지를 어떻게 마련할것인지 등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했다.
소병훈 의원(민·경기 광주시갑)은 “올해 상반기 인천경찰청의 체감안전도가 세종지방경찰청을 제외한 17개 지방청 중 16위로 나타났다”며 “미추홀경찰서는 올해 상반기 체감안전도가 전국 255개 경찰서 중 254위로 가장 낮은 수준이고, 5개 서는 체감안전도 하위 20%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소 의원은 “매년 낮다는 것은 심각한 일인 만큼 치안정책 방향 전반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으로 중장기적인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재정 의원(민·비례)은 이른바 ‘초원복집 사건’에 연루된 적 있는 박일용 전 인천직할시경찰국장이 (재)인천경찰장학회 정관에 등장하는 점을 지적했다.
이 의원은 “장학회 정관에 ‘법인의 창립을 추진한 창립 당시 인천광역시 경찰 국장 박일용 경무관 및 향후 부임하는 지방 경찰청장에 대해 고문으로 추대한다’는 조항이 있다”며 “과거 지역감정을 조장하고 부추긴 인물의 이름이, 설립을 추진한 사람이라는 이유로 오늘날까지도 고문으로 남아있는 건 공감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한편, 김한정 의원(민·경기 남양주시을)은 최근 논란이 된 조국 전 장관 처남 관련 루머에 대한 질의를 이상로 청장에게 해 빈축을 샀다.
김 의원은 “청장 처남이 세월호때 기관사라 도피한 적이 있느냐”고 따져물은 뒤 “정부를 불신하고 사회에 혼란을 주는 암적인 가짜뉴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해달라”며 인천경찰청과는 무관한 질의를 했다.
김경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