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10개 군·구와 마을공동체 및 주민자치 활성화에 나선다.
16일 시에 따르면 최근 시와 군·구의 마을공동체 및 주민자치 담당자, 인천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센터 관계자 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의회를 했다.
이왕기 인천연구원 박사의 마을공동체 및 주민자치 활성화를 위한 강의를 시작으로, 시의 주요사업 추진방향에 대해 공유했다. 또 군·구의 애로사항이나 건의사항도 논의했다.
특히 마을만들기 문화 저변 확대를 위한 마을활동가의 지속적 양성·지원의 필요성, 그리고 주민자치 전환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시 차원의 역량강화 교육 등이 핵심과제로 꼽힌다. 또 사업의 조기 안정화를 위한 재정지원 확대,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의 규모 확대 필요성 등도 논의하는 등 담당자 모두가 소통했다.
마을만들기 사업의 목적은 주민들이 직접 마을활동을 기획하고 집행하면서 주민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시는 지난 2013년 마을만들기 사업 관련 조례를 제정, 2014년에 제1기 마을만들기 기본계획을 수립해 지난 5년간 추진했다.
또 행정안전부가 지방자치 활성화와 적극적인 주민 참여를 위해 기존의 주민자치위원회를 주민자치회로 전환하고 권한도 대폭 강화하자, 시도 일선 군·구에 2곳씩 시범적으로 주민자치회를 운영하고 있다. 주민자치회는 기존의 자문기관에서 벗어나 지역의 정책을 직접 계획하고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시는 오는 2020년 마을공동체와 주민자치회 활성화를 위해 마을만들기 공모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인천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센터의 기능 강화와 군·구 주민자치회 운영지원 등을 위해 2020년 사업비 규모 확대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다변화하고 있는 마을 공동체를 대비한 ‘2기 마을공동체만들기 기본계획’수립 연구 용역도 추진한다. 앞서 시는 지난 9월부터 인천형 주민자치 모델 제시를 위해 ‘인천형 주민자치 기본계획’수립을 위한 시·전문가·시민단체로 추진준비 테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 시는 TF는 매월 회의를 열고 주민자치 기본계획의 방향 등을 잡고 있다.
신봉훈 시 소통협력관은 “시와 군·구 그리고 마을공동체 중간지원조직과의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맞춤형 주민자치 지원정책을 추진하겠다”면서 “앞으로도 군·구와 원활한 소통을 위해 업무협의회를 정례화 할 방침이다”고 했다.
이민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