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의 대중교통 편의성이 최근 15년간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광역교통 정책이 완성되지 않은 채 신도시가 잇따라 추진되면서 철도ㆍ버스가 아닌 승용차에 의존하는 경기도민이 서울시민 2배 수준으로 커졌기 때문이다. 정부가 국가철도망 구축계획ㆍ광역교통 비전 등 중장기 로드맵을 연이어 준비하는 가운데 철도 인프라 부족을 호소하는 시ㆍ군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본보는 21일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년ㆍ연내 경기도 건의안 제출), 광역교통 비전 2030(31일 발표) 등 정부의 수도권 교통 정책 수립을 앞두고 경기지역 교통 인프라 수준을 객관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교통수단 분담률’을 분석했다. 이와 관련, 교통수단 분담률은 행정구역별 발생ㆍ도착하는 수단별 통행량을 전체 통행 수로 나눈 값이다. 승용차 분담률이 높을수록 철도ㆍ버스 등 대중교통의 편의성이 떨어져 승용차에 의존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경기도의 가장 최근(2017년) 교통수단 분담률을 보면 ▲승용차 51.2% ▲전철ㆍ철도 11.6% ▲버스 28.2% ▲택시 4.7% ▲기타 4.3% 등으로 제시됐다. 이 중 승용차의 경우 수도권 평균(37.5%)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서울시(26.1%)의 2배에 달했다. 이처럼 승용차 비율이 높은 이유로는 열악한 전철ㆍ철도 인프라가 꼽힌다. 서울시민의 전철ㆍ철도 분담률이 35.3%인 반면 경기도민은 11.6%에 불과했다. 특히 2002년 경기도민의 승용차 분담률은 43.8%로 확인, 15년간 7.4%p 올라가며 상황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2002년 31.2%에서 5.1%p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도내 31개 시ㆍ군에서 승용차 분담률이 가장 높은 곳은 양평군(69.9%)으로 군포시(38.0%)의 2배 수준이다. 도내에서 극악의 철도망을 보이는 안성시(69.2%)와 포천시(68.3%) 역시 시민들이 승용차에 의존하고 있다. 안성ㆍ포천시는 전철ㆍ철도 분담률이 0.1%로 도내 최저치를 기록한 곳이다. 이어 동탄ㆍ배곧ㆍ운정ㆍ한강 등의 신도시를 품은 화성ㆍ시흥ㆍ파주ㆍ김포시도 승용차 분담률이 65% 안팎으로 명시됐다.
이처럼 대중교통 여건이 개선된 서울시와 달리 되레 하락세를 보이는 경기도의 원인으로는 신도시 개발이 주로 꼽힌다. 기존 신도시 중에서 화성 동탄2는 GTX, 수원 호매실은 신분당선, 남양주 별내는 별내선 등 각각의 광역교통망 사업이 지연돼 출퇴근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실제로 1~2기 신도시가 개발되면서 서울시와 경기도를 광역으로 통행하는 인원이 하루 12만 명이라는 통계도 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전철ㆍ철도의 분담률 수치 자체는 다소 상향됐지만 여전히 승용차 의존 비중이 큰 것은 사실”이라며 “신도시 등 광역교통 정책을 위해 정부에 건의안을 꾸준히 제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