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문도시 최대 경쟁지 부산시 ‘넘어야 할 산’
정부의 국제관광도시 선정이 가장 유력한 곳은 인천과 부산이다. 부산도 김해국제공항과 부산항 등 관문도시로의 인프라를 충족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역 균형 발전’ 논리는 인천이 국제관광도시 선정을 위해 넘어야 할 가장 큰 산이다. 국제관광도시 선정 이유 중 하나가 서울 등에 몰린 외국인 관광객 방문 지역을 다른 지역으로 분산시키려는 목적이 있다.
23일 문화체육관광부와 인천시 등에 따르면 국제관광도시 선정 추진 배경은 한국을 방문한 관광객의 지역 편중이다. 외국인 관광객은 10년간 배 이상 증가했지만, 이들의 방문 지역은 서울(79.4%), 경기(14.9%) 등 수도권 지역에 90% 이상이 몰려있다. 이렇게 몰려있는 외국인 관광객 수요를 대한민국 전체로 분산한다는 것이 이번 국제관광도시 공모의 핵심이다.
하지만 부산은 ‘정부가 인천을 국제관광도시로 지정했을 때 서울·경기·인천이 하나로 묶여 거대 관광권을 형성, 국제관광도시 공모의 취지를 훼손한다’는 논리를 펼치고 있다. 결국 수도권에 있는 인천이 아닌 부산이 국제관광도시로 뽑혀야 한다는 것이다.
앞서 문체부가 지난 7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 의뢰한 ‘관광거점도시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 제안서에 수도권을 국제관광도시에서 제외했던 것도 이 같은 해석에 힘을 더한다. 당시 문체부는 ‘외국인 관광객이 몰리는 수도권, 제주 외 관광도시로서 잠재력을 보유한 제2 관광도시를 전략적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며 과업 배경을 설명했다.
이후 문체부는 수도권 제외 방침이 담당 부서의 착오라고 해명했지만, 여전히 국제관광도시 공모에서 인천이 수도권에 있다는 이유로 공모에서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송원 인천경제정의실천연합 사무처장은 “실수라고 하지만 여전히 수도권을 국제관광도시에서 제외하려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이런 우려를 없애기 위해선 문체부가 공정한 경쟁을 통해 국제관광도시를 선정해야 한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부산도 인천처럼 공항과 항이 있어 국제관광도시의 첫 조건인 ‘관문도시’를 충족한다”며 “하지만 2개 도시는 양과 질적인 차원에서 차이가 있다. 인천이 국제관광도시로 선정돼야 한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