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도상국 생산자 유리한 무역조건 제공
매년 학생 교육 등 공정무역 인식개선 앞장
인천시가 전국 최초로 국제공정무역도시 재인증을 받았다.
시는 최근 국제공정무역마을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국제공정무역도시 지위를 재인증 받았다고 3일 밝혔다. 공정무역은 개발도상국 생산자의 경제적 자립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생산자에게 더 유리한 무역조건을 제공하는 무역형태를 말한다.
국제공정무역도시 인증은 지역 내 다양한 공동체를 기반으로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공정무역 제품 사용 증대를 위한 다양한 활동으로 국제적인 공정무역도시 요건을 충족하면 국제공정무역마을위원회로부터 받을 수 있다.
앞서 시는 지난 2010년 공정무역 확산을 위해 국제공정무역도시 조성 추진계획을 세우고, 2012년 ‘인천시 공정무역 지원 및 육성 조례’를 제정했다. 이후 시는 공정무역 인천광장을 비롯해 아이쿱생협, 푸른두레생협, 인천YMCA 등과 협업해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해 지난 2017년 10월 국제공정무역도시 인증을 받았다.
인증을 받은 시는 매년 2천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정무역 교육을 하고, 연간 20회 이상의 관련 캠페인을 여는 등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 개선에 앞장서고 있다. 또 매년 공정무역 페스티벌을 열어 시민이 공정무역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
시는 이 같은 노력에 힘입어 전국 최초로 국제공정무역도시 재인증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국제공정무역도시는 시, 경기 부천시와 화성시, 서울시 등 4곳이다. 이밖에 경기도, 서울 성동구, 인천 계양구 등은 공정무역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시는 앞으로도 공정무역 교육 확대 추진, 양질의 교육을 위한 교안 개발, 로컬페어트레이드 상품 기획 등 공정무역 운동 정착을 위해 힘쓸 계획이다.
김재웅 시 사회적경제과장은 “공정무역도시 재인증은 그동안 공정무역 확산을 위한 노력의 결과”라면서 “제3세계 생산자들과 같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협력과 상생의 발걸음을 내딛으려 한다”고 했다.
김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