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초로 인천에서 추진한 기업형임대주택 뉴스테이(재개발 연계형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사업)이 백지화 됐다.
5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최근 인천시 부평구 청천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의 공공지원민간임대 연계형 정비사업 선정을 취소했다.
청천2구역은 앞서 2015년 전국 최초로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으로 선정했던 곳이다.
조합은 지난 8월 말 조합원총회를 열고 재개발 사업에서 뉴스테이 공급 물량 3천247세대를 일반 분양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앞으로 정비계획 변경, 사업시행 인가, 관리처분계획 인가 등 절차를 밟아 일반 재개발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2016년 재개발 연계형 뉴스테이 사업으로 선정됐던 인근 부평4구역 재개발 조합도 지난 6월 조합원 총회를 거쳐 뉴스테이 사업을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
뉴스테이 사업을 통해 1천13세대를 공급할 계획이었으나 뉴스테이를 일반분양 물량으로 전환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부평4구역 재개발 조합은 앞서 국토부로부터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 선정을 취소한다는 통보를 받았으며 최근 인천시는 일반 재개발로 해당 사업 정비계획을 변경했다.
시는 동구 송림 1·2동 주택재개발정비사업 조합도 뉴스테이 사업을 포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한때 사업성이 없는 원도심 지역의 개발 방안으로 주목받았던 뉴스테이의 퇴장하는 모양새이다.
인천에서는 2015년 전국 최초로 정비사업 연계형 뉴스테이를 도입한 이후 10개 이상 정비사업이 뉴스테이와 연계한 방식으로 추진했다.
정비사업 조합은 주택가격이 사업 초기보다 상승했는데도 인수가격을 사업 초기 시세의 80%로 고정시켜 놓는 뉴스테이 산정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입장이다.
조합측은 “사업이 지연되면서 늘어난 공사비와 추가 비용을 두고 조합원만 피해를 보고 있다”며 “임대 사업자는 낮은 가격에 주택을 매입해 비용을 부담하지 않는 구조가 됐다. 매매 예약시점이 아니고, 착공시점에서 인수가격을 인상해야 한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조합이 뉴스테이보다는 일반분양을 하는 것이 사업성이 높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송길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