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자영업 분석 보고서…커피전문점 7만 개, 동일 상권이라도 매장별 매출 차이 커
커피전문점의 성장세는 지속할 것으로 보이지만 매장 수가 증가하면서 경쟁이 심화해 창업 시 상권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KB금융그룹(회장 윤종규)은 ‘KB 자영업 분석 보고서’ 시리즈의 세 번째로 ‘커피전문점 현황과 시장 여건’을 분석한 결과보고서를 6일 발간하고 이같이 조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1인당 커피 소비량은 2018년 기준 연간 353잔 수준이며 커피 관련 소비지출액은 가구당 월평균 1만5천815원으로 지난 5년간 2배 이상 증가했다.
7월 기준 전국적으로 약 7만1천 개의 커피전문점이 영업 중이며 전체 매장의 41.2%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집중했다.
커피전문점은 지방행정 인허가 자료 중 업태가 ‘다방’, ‘카페’, ‘커피숍’으로 분류된 매장을 의미한다.
2018년 커피전문점 창업은 1만4천 개, 폐업은 9천 개로 폐업보다 창업이 많았으며 이러한 상황이 2009년 이후 지속하며 커피 전문점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커피전문점은 음식점 대비 단독 운영 매장 비중이 높고 상대적으로 영업시간이 길며 적자매장비중이 11%로 높지만, 흑자 매장의 경우 영업이익률이 19.3%로 음식점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2018년 현재 커피 프랜차이즈 매장 수는 1만5천 개로 외식 업종 중 세 번째로 매장 수가 많으며 매년 매장 수가 증가하고 있어 매장 수가 감소하고 있는 다른 프랜차이즈 업종과 대비됐다. 커피 프랜차이즈 분석에는 직영점만 운영하는 스타벅스 등은 제외됐다.
커피를 마시는 사람의 53.5%는 습관처럼 커피를 마시고 있으며 최근 5년간 1인 가구의 커피 관련 소비지출은 약 3배 정도 증가했다.
커피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향후 커피전문점 수요는 증가세가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매장 수가 빠르게 증가하며 경쟁이 심화하고 있고 매장별 영업 상황에 차이가 큰 점은 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서는 제언했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관계자는 “커피전문점은 브랜드보다 맛과 접근성, 가격에 대한 소비자 선호가 높아 소형, 비 프랜차이즈 매장도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업종이다”라면서 “하지만 매장간 경쟁이 심화하고 동일 상권이라도 매장별 매출에 차이가 커 창업 시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