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고·외고 인천 5곳, 2025년 일반고 전환

교육부, 고교서열화 해소 방안 발표… 교육계 엇갈린 반응

교육부가 2025년 자율형사립고(자사고)·외국어고(외고)·국제고 등의 일반고 전환 방침으로 인천 내 학교 5곳도 일반고로 바뀐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7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고교 서열화 해소 방안으로 특수목적고 중 자사고·외고·국제고의 일반고 전환 계획을 밝혔다.

인천은 5곳의 학교가 대상이다.

자사고 중에는 인천포스코고와 인천하늘고, 외고중에는 미추홀외고와 인천외고, 인천국제고 등이다.

인천포스코고와 인천하늘고는 각각 포스코그룹과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만든 학교라 사립고교로 재단 형태는 유지하지만 자율적 학생선발권을 갖진 못한다.

학교들은 엇갈린 반응이다.

강익수 인천포스코고 교장은 “정부가 추진하는 일인데 따라야 하지 않겠느냐”며 “2025년부터 전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때까지는 정상적인 자사고로 운영할 것”이라고 했다.

반면 김일형 인천 하늘고 교장은 “공론화 과정 없이 인천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을 갑자기 발표해 당혹스럽다”며 “우리는 절반 이상이 공항공사 재직자 자녀와 인천지역민인데 같은 잣대로 폐지하라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만약 2025년 일반고로 전환하면 이미 만들어둔 기숙사도 문제고, 공항공사의 재정적 지원도 받기 어려워진다”고 했다.

교사들 반응도 엇갈린다.

한성찬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정책실장은 “고교 서열화 해소 문제는 전교조가 꾸준히 주장했던 것으로 우선 환영하는 입장”이라고 했다.

다만 한 실장은 “학교명이나 교육과정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정책이 유명무실해질 우려가 있다”며 “과학고나 영재학교를 그대로 남겨뒀다는 점 역시 고교 서열화 방지를 위해 신경써야 할 부분”이라고 했다.

반면 박승란 한국교육단체총연합회 인천지부 회장은 “공부를 잘하는 것 역시 아이의 재능이 될 수 있는데, 일괄적이고 급하게 특성화고를 폐지하는 것은 우려스럽다”고 했다. 이어 “당장 폐지를 앞둔 학교에 대한 기피현상이 나타나는 등 부작용이 생길 것”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교육부는 올해 말까지 자사고·외고·국제고의 운영 근거를 담은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바꿔 ‘고교학점제’를 도입하는 2025년 3월부터 일제히 일반고로 전환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다만 영재학교와 특목고 중 과학고·예술고·체육고 등은 일반고 전환대상에서 제외했다.

이번 발표에 따르면 현재 초등학교 4학년생부터는 고교 진학 시 선발이 아닌 배정 방식의 적용을 받는다.

전환 전 입학한 학생은 졸업까지 기존 학교 신분을 유지할 수 있고, 학교 이름이나 특성화한 교육과정은 바꾸지 않고 운영할 수 있다.

김경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